Investment (744)
ACTC, 프로테라(Proterra)와 합병 분석

전기 버스 제조사인 프로테라(Proterra)가 어느 스팩과 합병하는지가 화두였는데 결국 ACTC(ArcLight Clean Transition Corp)와 합병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합병 규모는 약 $1.6B 규모이며 프로테라는 이번 합병건을 통해서 ACTC로 부터 278M, PIPE로부터 415M의 자금을 수혈받게 되며, 이 자금으로 차세대 배터리 연구 및 capax 투자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1.6B의 밸류는 2022년 예상 매출 대비 3.6x, 20205년 예상 매출 대비 0.6x 밸류에이션 수준입니다.

 

 

 

프로테라는 전기 파워트레인 부문(Proterra Powered), 전기 버스 제조 부문(Proterra Transit), 차량 충전기 및 에너지 관리 부문(Proterra Energy) 이렇게 3개의 비지니스 영역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테라는 이미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배터리 및 버스의 Capa는 아래와 같습니다. 타 업체들과 달리 이미 생산을 하고 있고 운용을 통해 성능을 입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경쟁자들은 Prototype을 발표한 수준이라면 프로테라는 이미 상용화 된 상태입니다. 그로 인해 이미 기술을 입증하고 있으며 동시에 필드 데이터를 모아서 Quality를 향상시키는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파워트레인 부분의 시장 규모는 $225B수준이며 해당 부분에서 프로테라는 이미 고객을 상당수 확보한 상태입니다. 

 

 

 

전기 버스 제조 부분은 현재 북미에서 점유율 50%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이미 판매, 운용되는 전기 버스를 통해 여러 performance들이 검증되고 있습니다.

 

 

전기 버스 제조 부문은 2025년까지 연평균 50%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프로테라 에너지 부문 관련 현재 54MWatt 수준의 450개의 충전소가 북미에 설치되어 있다고 합니다.

에너지 충전 뿐만 아니라, 전기 버스 모니터링, 에너지 저장, 배터리 리사이클링 등의 사업도 진행한다고 합니다.

 

프로테라는 750M 이상의 주문을 받아 놓은 상태이며 20년부터 25년까지 연평균 매출 성장률은 68%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전기차 제조 판매를 통해 발생하는 매출이 대다수이지만 향후 파워트레인 및 에너지 부문에서의 매출이 상당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향후 실적 발표를 통해 해당 부문 매출이 발생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3년 이내에 배터리 코스트를 86%, 인건비 및 기타 비용 55%, 버스 생산 비용을 47% 낮출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 2020년 4% 수준이었던 매출이익을 25%까지 높일 예정이라고 합니다. 상당히 챌린지 해보이네요. 실현 가능 할지...

 

 

EBITDA기준 20203년에 흑자 전환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2025년에는 EBITDA margin이 20%를 넘어설 것이라고 프로테라 측에서는 예상하고 있습니다. 예상 실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이익 레버리지 및 앞서 언급한 cost reduction을 제대로 달성해야 합니다.

글로벌 Peer group과의 매출 성장 및 매출이익 비교입니다. Peer group의 median보다 프로테라의 2025년 매출 성장 및 매출 이익률이 높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회사에서 peer group을 선택하고 비교했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면 안될 것 같습니다.

 

Peer group과의 매출 대비 밸류에이션 비교 입니다.

2021년, 2022년 예상 치 기준으로 EV/R은 상당히 낮은 편이라고 주장(?)합니다.

스팩 합병한 전기차 및 에너지 회사와 프로테라의 밸류에이션 비교입니다.

상당히 저평가 되어 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여기서 프로테라의 밸류에이션은 스팩$10기준이라 현재 가격 기준 밸류 비교를 하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프로테라는 이미 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판매, 운용을 통해서 입증하고 있는 만큼 타 회사에 비해 앞서있는 회사인 것 만큼은 틀림없습니다. 다만 밸류에이션은 주의해서 봐야할 것 같네요.

 

절대 투자를 권유하는 포스팅이 아닙니다. 투자를 원하실 경우 Investor Presentation을 잘 읽어보고, 제대로 peer group을 정하고 현재 ACTC의 주가 기준으로 밸류에이션하여 비교한 뒤 투자 여부를 결정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Investor Presentation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시면 됩니다.

 

Proterra Investor Presentation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FUSE, MoneyLion과 합병 논의 중(블룸버그)

핀테크 섹터 회사의 합병을 목표로 하는 스팩 FUSE(Fusion Acqusition Corp)가 MoneyLion과의 합병을 논의 중이라는 뉴스가 블룸버그에서 나왔습니다. 

블룸버그의 스팩 뉴스가 실제 합병으로 이어진 경우는 80%가 넘으므로 실제 LOI나 DA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MoneyLion은 2013년에 설립된 핀테크 회사입니다. 2015년에 개인 자산 관리 및 대출 앱을 런칭했으며 New York mobile banck로부터 160M의 투자를 받기도 했는데, 이때 1B의 가치로 평가되었습니다. 따라서 이번 합병 건에서는 최소한 1B이상의 밸류를 받을 것 같습니다.

 

MoneyLion은 포브스 선정 2020년 가장 혁신적인 핀테크 기업 50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Fintech 50 2020 (forbes.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패러데이 퓨처(Faraday Future), PSAC 합병 분석

패러데이 퓨처(Faraday Future)는 201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한 때 테슬라의 대항마로 유명세를 떨쳤었는데 테슬라와 달리 대량 양산이 지속적으로 연기되었고

결국 기업의 존폐위기까지 몰리기도 했습니다.

이번 스팩 상장을 통한 자금 수혈이 대량 양산 및 회사 정상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패러데이 퓨처는 PSAC(Property Solutions Acquisition Corp)와의 합병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합병 회사 밸류는 2.6B수준이고 패러데이 퓨처는 이번 합병을 통해서 PSAC로부터 230M, PIPE로부터 775M정도의 자금을 수혈하게 됩니다. 해당 밸류는 2024년 예상 매출 기준 0.2x 수준, 20204년 예상 EBITDA기준 2.9x 수준입니다.

 

포트폴리오와 마일스톤은 아래와 같습니다.

합병 이후 공장을 완성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에 들어갈 것으로 보이네요.

공장은 연간 최대 1만대 정도의 생산 capa를 가진 캘리포니아에 하나, 연간 27만대 생산 capa를 가진 한국에 하나입니다.

현재 14,000대의 예약 물량을 가지고 있고 FF91와 타회사의 전기차와 퍼포먼스 비교입니다.

마력, 제로백, 주행거리, 충전시간에서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재 이미 발표한 FF91시리즈는 2022년 1Q부터 판매가 되기 시작하고 이후 FF81, FF71을 차례대로 런칭할 예정입니다.

볼륨 모델이 될 FF71이 2024년 4Q부터 판매 예정인데 조금 늦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Presentation에서 지리 자동차와의 협업과 중국 당국의 지원 속에서 중국에서 엄청난 기회가 있을거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 연간 capa가 10만 ~ 25만 정도로 예상하고 있고 2026년에는 capa가 15만대 더 추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패러데이 퓨처의 서플라이 체인들입니다.

유명한 회사들이 많이 보이네요. 우리나라 회사들도 참여합니다. LG화학, 현대트랜시스, 하만....

 

매출은 FF91이 딜리버리 되기 시작하는 2022년부터 발생할 예정이며 FF81, FF71의 런칭을 통해 고속 성장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에게 차를 파는 B2C 뿐만 아니라 "Smart Last Mile Delivery"라는 B2B 서비스를 통해서도 매출을 낼 거라고 예상하고 있네요.

 

 

 EBITDA기준 2024년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합병 회사의 주주 비율입니다. 스팩 주주 및 스폰서가 약 9%를 차지하고 PIPE가 23%를 차지합니다. PIPE물량이 많은 편이라 락업 해제 이후 하락의 위험이 커 보입니다.

 

밸류에이션 벤치마크 입니다.

페러데이 퓨처의 밸류에이션은 스팩 상장한 전기차 회사 Fisker, Lordstown과 매출 기준은 비슷하나, EBITDA기준으로 약간 고평가 되어있어 보입니다. 타 회사에 비해 Canoo는 많이 비싼 편이군요. 이미 시장에서 핫한 테슬라 니오, 샤오펑, 리오토의 IPO에서 4~5년 이후의 밸류에이션을 비교해놨는데, 아직 증명할게 많은 패러데이 퓨처와 비교하는건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스팩회사와 합병한 아직 대량생산을 시작하지 못한 전기차 회사들과 비교하는게 나아보입니다.

 

 

매출 CAGR은 전기차 회사 중 패러데이 퓨처가 압도적이네요. 반면 EBITDA는 좀 떨어집니다

.

 

아직 증명할게 많은 패러데이 퓨처입니다.

한국 군산을 생산거점으로 삼고 있고 한국 회사들과의 협업 관계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잘되었음 좋겠네요.

Investor presentation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볼 수 있습니다.

 

Faraday Future Investor Presentation 보기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패러데이 퓨처, PSAC와 합병

합병 루머 소식이 계속 있었던 중국의 전기차 회사인 패러데이 퓨처(Faraday Future)와 PSAC(Property Solutions Acquisition Corp)가 공식적으로 합병 계약에 서명했습니다.

페러데이 퓨처의 합벼은 3.4B규모이며 이 합병건을 통해 패러데이 퓨처는 PSAC로부터 230M을 수혈받게 되고 PIPE 투자금 775M도 수혈받게 됩니다. PIPE규모가 커서 부담스러운 면이 있네요.

 

패러데이 퓨처는 2014년에 설립되었고 그동안 파산하는 등 부침을 겪었으나 이번 스팩 합병을 통해 재무적 이슈를 다소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Faraday Future and Geely Holding Group Sign a Cooperation Agreement

 

Faraday Future and Geely Holding Group Sign a Cooperation Agreement

Faraday Future, a global shared intelligent mobility ecosystem company and China’s largest privately owned automotive group,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have jointly signed a framework cooperation agreement. The two sides will cooperate in technology a

finance.yahoo.com

발표가 나기 전에 곧 발표가 임박했다는 뉴스만으로도 PSAC는 18%정도 상승했으며 장마감후 9%대 추가 상승한 상태입니다. 변동성이 큰 상황이므로 주의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게임스탑이 촉발한 시장 조정

SK증권의 이효석 팀장이 유튜브에 올린 시장 조정에 관한 영상에 대한 요약입니다.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싶으신 분은 포스팅 아래에 있는 이효석 팀장의 영상을 보시길 추천합니다.

 

- 아시아 및 유럽증시는 많은 하락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미국은 큰 하락세를 보였음. 따라서 미국 중심의 문제

- 달러 강세였으나 과거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주가 하락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 것은 아님

- VIX가 많이 오름. 대선 노이즈가 많았던 수준까지 한번에 올라옴. 시장이 많이 불안한 상태, 수급이 꼬인 상황

- 수급이 꼬인 상황의 원인은 "게임스탑(GameStop)"

- 게임스탑에 숏 포지션(공매도)을 가져간 헤지펀드들이 게임스탑의 폭등으로 인하여 원금의 8배 이상 손실이 난 상태

- 헤지펀드들이 숏 포지션 청산을 위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다른 주식을 팔면서 시장의 하락이 발생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Microvast, THCB와 합병 DA 임박?

이차전지 업체인 Microvast와 스팩 THCB의 합병과 관련하여 DA가 임박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그 근거는 Microvast의 홈페이지에 Investor 메뉴가 갑자기 생성되었기 때문이라고 많은 이들이 믿고 있습니다.

 

보통 DA단계에 들어서면 합병회사 홈페이지의 투자자(Investor) 혹은 IR메뉴에 합병 관련 자료인 investor presentation을 공개합니다. 따라서 조만간 DA와 함께 이번에 업데이트 된 Microvast의 investor 탭에 investor presentation이 올라올 거라고 기대하고 있는 듯 하네요.

 

LOI단계의 THCB와 Microvast합병 건은 그 동안 지지부진했었고 그로 인해 주가도 하락세가 지속되는 추세였는데

홈페이지 업데이트로 인해 DA가 가까워졌다고 생각하는지 현재 장전 20%가 넘게 오르고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스팩] 미국 스팩의 기초

스팩이란?

스팩(SPAC)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어로 비상장 기업의 인수를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입니다. 합병을 위해 상장된 회사이기 때문에 black check company, shell company 혹은 paper company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스팩은 IPO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모아 거래소에 먼저 상장한 이후 유망한 비상장기업을 합병하는데, 스팩투자자는 이런 기회를 통해 기업인수에 간접참여할 수 있고 비상장사인 피합병기업은 합병됨과 동시에 증시에 상장하는 효과와 현금 투자를 받게 되는 효과를 누리게 됩니다.

 

미국 스팩의 상장 및 합병 과정

아래 그림은 미국 시장에서 스팩이 어떻게 설립, 상장되고 합병되는지 잘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1. 스팩 회사 설립(Emma wants to form a SPAC)

그림에서의 Emma와 같은 사람들이 비지니스 목적으로 인수 합병을 위해 스팩을 설립합니다. Emma와 같이 스팩을 설립한 사람들을 스폰서(Sponser) 혹은 발기인(Initiator)라고 합니다.

 

2. 스팩 회사 상장 준비 및 투자자 모집(She launches EmCorp, files to go public and finds investor)

스팩 회사를 설립하고 난 뒤 상장 절차를 진행하고 투자자를 모으기 위해 로드쇼를 진행합니다. 그림속 Emma가 설립한 회사는 EmCorp라는 스팩이네요.

 

3. 투자자의 스팩 공모 참여(Investors buy EmCorp unit for $10 each)

스팩 설립 투자자들은 주당 $10에 EmCorp의 유닛(Unit)을 투자합니다. 미국에서 스팩은 보통 주당 $10인 경우가 대부분이나 Bill Ackman의 스팩처럼 다른 가격인 경우도 존재합니다. IPO로 모인 투자금은 보통 은행에 예치되며 나중에 합병 시 피합병기업에게 주어집니다. 공모시 주어진 유닛(Unit)은 상장된 이후 특정 시간이 지난 뒤 보통주와 워런트로 분리가 됩니다. 

 

4. 스팩회사의 거래소 상장(EmCorp SPAC goes public and Emma keeps 20% of the share)

투자자를 모집한 스팩회사는 거래소에 상장이 됩니다. 스팩을 설립한 스폰서들은 Leardership Team으로 스팩과 합병할 회사를 찾고 협상하게 되는데, 스폰서들이 따로 보수를 받지 않고 대신 스팩의 주식을 공모가 $10보다 저렴한 가격에 인수하여 합병 기업을 찾는데 동기부여를 하게 합니다.

 

5. 합병기업 탐색(Emma searches for a target company to acquire)

스팩의 거래소 상장 이후 Emma와 같은 스폰서들은 18개월에서 24개월 동안 합병할 기업을 찾게 됩니다. 대부분 스팩을 설립할 때 합병하기로 한 분야의 유망한 기업을 열심히 찾습니다. 따라서, 투자할 스팩을 고를 때 합병 분야가 어디인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합병 기업과 합병(EmCorp decides on a StartupCo, and negotiates the acquisition terms)

합병할 기업을 결정하고 나면 협상을 시작합니다. 스팩 합병시 많이 나오는 LOI와 DA가 이 단계에 해당합니다. LOI(Letter Of Intent)는 합병을 위한 가계약 상태 정도로 보면 될 것 같고 DA(Definitive Agreement)는 합병 계약이 완료된 상태로 보면 됩니다.

 

7. 합병을 위한 주주 투표(Shareholders vote and agree to buy the company)

DA이후 합병을 위한 투표 날짜가 정해지고 스팩 주주들은 합병 건에 대해서 찬성 혹은 반대표를 행사하게 됩니다. 합병하기로 한 회사의 가치가 지나치게 부풀려졌거나 미래 성장이 불투명하여 주가가 $10이하로 내려가서 손해를 입게 된 경우엔 주주로서 주식매수청구권(Coversion Right)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8. PIPE투자를 통한 펀딩(EmCorp buys the company with money from its IPO and additional funding)

합병시 스팩의 규모가 합병회사가 원하는 규모를 못미칠 경우 추가적인 펀딩으로 자금을 조달받게 되는데 이때 펀딩하는 투자를 PIPE(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라고 합니다. PIPE투자자들은 주당 $10을 받고 합병에 참여하게 되는데, 합병 완료이후 차익 실현을 위해 매도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PIPE의 락업 여부도 잘 체크해야합니다.

 

9. 합병 상장(Officially traces on stock market)

합병을 하게 되면 스팩의 티커는 합병회사의 티커로 바뀌게 되고 거래소에서 거래되게 됩니다.

 

스팩의 청산

미국 스팩의 경우 주어진 시간 내(보통 24개월)에 합병을 성사시키지 못할 경우 주주에게 합병 기한 연장 여부를 투표하게 됩니다. 주주로서 합병기한 연장에 찬성하여 합병 기업을 찾도록 기회를 줄 수도 있고 반대하여 예치금($10)과 이자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합병기한 연장 반대하는 주주가 찬성하는 주주보다 많은 경우 스팩은 청산하게 되고 주주는 예치금과 이자를 돌려받게 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하나금융스팩17호 청약

2020년 총 4개의 스팩을 합병시켰고 그 중 카이노스메드, 윈텍과 상장을 통해 높은 수익률을 거두었던 하나금융투자에서 하나금융스팩17호를 공모 상장합니다.

 

하나금융17호스팩의 청약일은 2021년 1월 29일 ~ 2월 1일까지이고 총 공모 주식수는 6백만주로 120억 규모입니다.

발기인으로는 하나금융투자와 함께 스팩합병으로 유명한 에이씨피씨(ACPC)가 참여합니다.

에이씨피씨가 80만 주, 하나금융투자가 만 주의 지분을 가지며, 하나금융투자 및 관계사에서 199만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를 추가로 발행됩니다.

 

2,000 이하로 거래되는 스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스팩 투자에 관심있으신 분은 청약을 통해 지분을 확보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현대차 첫 레벨3 자율주행에 벨로다인(VLDR) 대신 발레오 라이다 채택

2020년 스팩 합병을 통해 상장한 라이다 점유율 세계1위 업체인 벨로다인 라이다가 현대차의 자율주행이 채택이 되지 않았다는 뉴스가 있습니다.

 

벨로다인 라이다는 현대 모비스의 지분 3% 투자를 받았고 공동으로 양산형 라이다를 개발한 만큼 제네시스 G90에 탑재되는 자율주행에 벨로다인의 라이다가 사용될 것이라 예상되었는데, 벨로다인 대신 발레오 라이다가 채택되었다고 하네요.

 

벨로다인의 세계1위는 연구용 납품 위주였으며 라이다 양산에는 차질을 빚고 있어 보입니다.

양산은 개발과 또 다른 어려운 과제인 것 같네요.

 

 

현대차, 첫 레벨3 자율주행차에 '발레오' 라이다 단다

현대차그룹이 2022년에 출시하는 첫 '레벨3' 자율주행차 '제네시스 G90'에 벨로다인이 아닌 프랑스 발레오의 라이다를 장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가 600억원을 투자한 벨로다인과 라이다

news.naver.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GIK, Lightning eMotors 합병 분석

GIK(GikCapital3)와 Lightning eMotors의 합병은 2021년 1분기 이내 합병이 완료될 예정이며 합병 가치는 0.651B  수준입니다. 2021년 1월 21일 종가 기준 GIK가 $16.01이므로 현재 시장에서의 가치는 1.04B수준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GIK의 100M에 PIPE 25M이 추가 펀딩되는데, 파이프 물량이 적은 편이라 합병 이후 하락 강도는 타 스팩보다 조금 약하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About Lightening eMotors

Lightening eMotors는 전기차 회사로, 제조 및 판매, 가솔린 자동차의 전기차 전환, 충전서비스, 파이낸스 서비스 등 전기차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차전지 전기차는 물론 수소연료 전기차도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며 Class 3~7의 트럭과 버스를 생산합니다.

 

 

XLFleet, Hyliion, Nikola등의 경쟁사와 달리 Lightning eMotors는 2018년부터 이미 생산하고 있으며 120대의 차를 이미 판매했다는 점에서 아직 공장에서 생산도 하지 못한 경쟁사와 비교 우위에 있습니다.

 

테슬라, 로스타운모터스, 리비안과 같은 신성 전기차 업체와 GM, 포드 등이 격전을 벌이고 있는 Light-Duty와 달리 Lightning eMotors가 속한 Medium-Duty는 경쟁이 그리 심하지 않으며 이미 시장을 선점한 상태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50%가 넘는 시장을 점유하고 있고 많은 고객을 확보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Lightning eMotors측에서 제시한 낙관적인 자료이긴 하지만 2020년부터 25년까지 연평균성장률 195%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9M 정도 매출이 나왔고 2021년에는 63M정도의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당장 2021년 예상 실적이 매 분기마다 잘 나오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EBITDA기준 2022년 흑자 전환을 예상하고 있고 Cash Flow는 capex를 포함한 투자 계획으로 2025년부터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네요.

 

경쟁사와의 밸류에이션 비교입니다. 현재 전기차 시장 혹은 자율주행 시장에서 핫한 플레이어들의 2021년 밸류에이션과 Lightning eMotors의 2024, 2025년 밸류에이션 비교는 무의미한 것 같고 동일한 2024, 2025년의 예상 밸류에이션을 비교해봐야 Lightning eMotors의 가치에 대한 판단이 될 것 같네요. 다만 스팩합병한 전기차 회사들의 밸류에이션 평균과 비교하면 낮은 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Lightning eMotors의 장점이라면 이미 전기차를 생산하고 있다는 점과 수주 잔고도 어느 정도 확보했다는 점, Class3~7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는 것 등이 있겠네요.

 

본 포스팅은 investor presentation에 나온 내용의 일부를 정리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investor presentation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investor presentation 보기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스팩] 스팩 투자 시 참고할만한 사이트

SPAC Insider: SPAC과 관련된 정보와 일정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 - SPACInsider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 - SPACInsider

A trusted resource for current information on the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SPAC) market. The site includes weekly SPAC IPO updates

spacinsider.com

특히 SPAC Insider에 있는 Calendar는 스팩 합병, 투표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SPAC Calendar | SPACInsider

 

SPAC Calendar | SPACInsider

Notable upcoming events for all SPACs. Includes anticipated pricing dates, shareholder vote dates, completion deadlines and extended...

spacinsider.com

 

Reddit - SPACs / Stocktwits 스팩과 관련된 루머나 정보를 가장 빠르게 접할 수 있는 곳입니다.

www.reddit.com/r/SPACs/

 

SPACs • r/SPACs

Let’s Talk About SPACs, Baby: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 Blank Check Companies, Reverse Mergers & More!

www.reddit.com

 

Incurable Optimist (@DreamingOwl) | Stocktwits

 

Incurable Optimist (@DreamingOwl) | Stocktwits

The latest messages and market ideas from Incurable Optimist (@DreamingOwl) on Stocktwits. An analytical investor - mainly focus on bio (hibernation currently), clean energy and white-hot SPACs (also FML ETF). Learning about conviction, investor psychology

stocktwits.com

 

SPAC Track - SPAC현황, 기사, 통계자료를 볼 수 있는 곳입니다.

 

 

Home

SPACtrack.net is a SPAC tracker tool. Find the key information for SPACs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ies) including Market Data, Target information, Cash in Trust, and more.

spactrack.net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스팩] 미국 스팩(SPAC)에 대한 이해 및 특징

주로 한국 스팩 위주로 투자를 하다가 코로나 하락장 이후 미국 시장에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서 미국 스팩 투자도 함께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알게된 미국 스팩에 대해 알게 된 기초적인 이야기를 정리를 해볼까 합니다.

 

미국 스팩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선 "스팩이란 무엇인가?" 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해보면

스팩(SPAC)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어로 비상장 회사를 인수 합병하여 우회상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입니다. 스팩은 상장된 회사이긴 하나 이윤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가 아니라 인수 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가 됩니다.

 

한국 스팩에 관한 이야기이나 미국 스팩에도 동일하게 적용될만한 스팩에 대한 기초적인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하세요.

 

 

[한국스팩] 스팩이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원금 보장 여부이며 또 다른 하나는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는지 일 것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스팩은 원금을 지킬 수 있는 기회를 가

spacinvest.tistory.com

미국 스팩에 관한 특징을 이야기 해보면...

 

1. 미국 스팩의 내재가치는 $10

미국 스팩의 내재 가치는 보통 $10입니다.(한국 스팩은 2,000원)

Bill Ackman이 만든 스팩과 같이 다른 내재가치를 가진 스팩들이 있긴 하지만 대다수는 $10입니다.

내재가치가 $10이라는 말은 스팩이 합병할 만한 회사를 찾아서 상장시키지 못하더라도 스팩 주주들은 최소 $10 정도의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말입니다. 

따라서 스팩을 투자할 때에는 $10이하 혹은 $10인근에서 매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미국의 스팩합병 기한은 2년

미국의 스팩은 상장한 이후 2년 이내에 좋은 기업을 찾아서 합병해야 합니다. 한국은 3년의 합병 기한이 주어지는데 미국은 한국보다 1년 짧은 편입니다. 하지만, 주주총회를 통해서 합병기한을 연장시키는 경우도 많이 발생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장한지 2년이 다되어가는 스팩은 피합병기업을 찾는데 조급할 수 있으며, 그다지 좋지 않은 회사와 합병을 추진하여 합병 이후 피합병사가 파산하는 경우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합병 기한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실히 체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워런트

미국 스팩의 경우 처음에 상장할 때 워런트가 주식에 포함된 유닛으로 상장됩니다. 그리고 워런트는 시간이 지난 뒤 보통주와 분리가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없기 때문에 생소한 워런트는 보통주를 교부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현재 한국에서 투자할 경우 워런트를 통해 보통주를 교부받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나 워런트의 매도를 지원하는 한국 증권사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워런트는 합병이 되는 경우 변동성이 보통주보다 훨씬 커서 수익률이 잘 나오는 경우도 많습니다. 반대로 합병이 무산될 경우 워런트는 휴지조각이 되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4. PIPE

한국에서 스팩이 합병 상장하게 되면 90%이상은 차익실현으로 폭락을 하게 되는데 미국도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PIPE의 존재는 폭락의 주된 원인이기도 합니다. PIPE는 Private Investment in Public Equity로 피합병사가 원하는 현금 규모에 스팩이 못미칠 경우 기관 투자자나 사모펀드의 자금을 추가하여 합병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들을 PIPE라고 합니다. PIPE에게는 공모가 $10로 주식이 발행되며 이들은 합병 이후 매도세력이 되어 주가의 하락을 만드는 주 요인이 됩니다. 스팩 합병 진행 시 PIPE물량이 어느정도 규모인지 락업 기간이 어느정도인지 파악하여 매도 시점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합병 심사 기관이 없다.

한국의 경우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스팩의 합병에 있어서 피합병사의 가치평가가 적절한지 상장할만한 회사인지 심사하여 "합병 승인"을 하게 되어있지만 미국은 합병심사와 같은 프로세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미증권거래위원회(SEC)는 서류심사를 통해 주주들의 권리가 지켜지고 있는지만 확인하며 합병 승인이라는 절차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즉, 개인투자자들은 말도 안되는 합병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가치 평가를 통해 매도를 하던 주식매수청권을 신청하던지 해야합니다.

 

 

6. 구체적이고 명확한 합병 분야 그리고 스팩 리더쉽

한국 스팩과 달리 미국의 스팩들은 합병할 회사의 분야를 명확하게 정해놓고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앞으로 유망한 분야의 회사를 합병하려는 스팩을 선별하여 투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스팩의 리더쉽이 과거의 어떤 회사와 합병을 진행했는지 어느정도 수익을 거뒀는지를 파악하여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CCIV와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합병 근거

CCIV와 테슬라의 대항마로 불리우는 루시드모터스(Lucid Motors)의 합병 루머로 CCIV의 주가가 급등하고 있습니다.

여러 커뮤니티에서도 관련 글이 끊이지 않고 올라오고 있고 자신의 자산을 전부 CCIV에 투자했다는 글도 올라오고 있습니다.

너무 과열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가 되기도 하고 합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의 리스크에 대한 불안함도 있습니다만

그 반대편에서 CCIV와 루시드모터스의 강력한 컨넥션을 근거로 합병에 대해 확신하는 소스들도 꽤 많이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혹시 CCIV를 뒤늦게 투자하신 분들이라면 아래 소스들로 마음의 위안을 얻으시길 바라며...

 

1. 스팩의 수장인 Michael Klein이 사우디국부펀드인 PIF의 adviser라는 점. PIF는 루시드모터스의 50~60% 지분 보유한 것으로 추정

 

Michael Klein: Middle East Expert at Credit Suisse

His election to the board of Credit Suisse may have gone by almost unnoticed in Switzerland. But Michael Klein’s business interests ranging from oil-rich Saudi Arabia to the U.S. philanthropists no doubt are top-notch.

www.finews.asia

2. CCIV의 operating partner인 Andrew Liveris는 루시드 모터스의 이사회 의장임과 동시에 PIF의 special adiviser

 

3. Michael Klein이 Andrew Liveris가 Dow Chemical CEO였던 때, Dow Chemical과 DuPont의 합병에 lead adviser로 참여한 적이 있음. 이 둘은 Citigroup에서 함께 있었던 적도 있어서 확실한 컨넥션임.

 

 

Wall Street rainmaker Michael Klein no longer a one-man show

Star dealmaker and former Citigroup Inc executive Michael Klein, the lead adviser to Dow Chemical Co on its $130 billion merger with DuPont, has quietly tripled the size of his advisory firm in the last 18 months.

www.reuters.com

 

결론적으로 Michael Klein과 Andrew Liveris, 루시드 모터스의 투자자인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컨넥션으로 인해 CCIV와의 합병을 확신하는 듯 합니다.

다만, 루머가 맞다하더라도 협상이 결렬될 수도 있기 때문에 DA전까지는 리스크가 있음을 감안해야 합니다.

만약 결렬된다면 CCIV는 10불 언저리로 폭락가능하기 때문에 현재로선 추격매수를 하지 않는게 안전해 보입니다.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리스크를 회피하는 것이 항상 옳을 때가 많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주식의 매매 타이밍 - 삼프로TV 교보증권 박병창 부장님 강의 요약

 

교보증권의 박병창 부장님이 삼프로TV에 나와서 주식의 매수/매도 타이밍에 대한 강의를 했었는데

실전매매에 많이 도움이 되는 내용이라 요약을 해봤습니다.

 

글로는 와닿지 않을 수도 있고 요약이라 왜곡이 있음을 감안하시고 관심있으신 분들은 포스팅 아래에 강의 링크를 이용해서 들으시길 추천합니다.

 

 

- 매매 타이밍을 논하기에 앞서 좋은 종목을 고를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매매 타이밍을 위한 전재조건

- 매매 할 때 매수, 매도 주체들이 가격을 올리면서 팔고 사는지, 가격을 내리면서 팔고 사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변동성

- 큰 변동성은 좋은 매매 타이밍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1998년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하락 등

- 10년에 한번씩 오는 큰 변동성 외에도 더 잦은 변동성도 있다. 예를 들면 남북한 대치, 911테러 등등

- 1년 4번 우리나라는 매 분기마다 실적을 발표할 때 변동성이 커짐. 이때 우리는 종목을 팔고 살 기회가 생김

- 기업 가치의 변화가 아닌 시장 외적 요인에 의한 심리 변동성이 발생하고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때가 좋은 매매 타이밍

- 하루 기준으로는 장이 시작한 뒤 한 시간, 장마감 전 시간이 가장 변동성이 큼

- 아침 장 한 시간은 오늘 상승할건지 하락할건지 공방을 벌이는 시간, 이때 판단이 중요하다.

- 전날 장대음봉이 나온 종목은 처음에 상승했다가 매물이 나와서 밀리던지 아니면 다시 상승되던지 장 시작한 뒤 한시간 이내에 결정됨

- 장 시작 후 한 시간이 지나면 거래량이 줄어듬. 

- 오후 2시 30분 이후로 거래량이 늘어나며 매수, 매도 공방이 발생함. 장마감까지의 한 시간은 다음날 오를건지 내릴건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시간

- 오후에 매수가 많이 들어와서 올리는 종목은 다음날에 오를 가능성이 높음.

- 하루종일 기다렸다 오후에 매도가 많아지는 종목은 다음날에 오를 수 없음.

- 강세장일 때 강세 종목은 아침 9시~10시에 매수해야함

- 약세장일 때 약세 종목은 오후까지 기다렸다가 매수가 많이 나오지 않으면 다음날가지 기다려야함. 다음날도 매수가 많이 나오지 않으면 계속 기다려야함. 언제까지?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양봉이 나타나야함, 거래량이 늘고 양봉이 나타나면 황소가 들어온 것.

- 강세장 일 때, 약세 종목은 눌림목을 기다렸다 사야하며, 순환매로 대응

- 약세장 일 때, 강세 종목은 아침에 사야하며 단기거래 위주로 해야함.

- 약세장 혹은 폭락장에서 매일 매일 시장을 보면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하면서 장대 양봉이 발생하면 1차 바닥으로 보고 1차 매수

- 그 이후 하락하는 경우 추가 매수하지 말고 두고 봄. 하락했을 때 직전 저점까지 뚫고 내려가지 않고 올라가는 경우 과감하게 추가 매수

- 고점은 거래량이 없이 상승하다가 어느날 갑자기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장대 음봉이 나타날 때, 거래량이 크면 클 수록 고점이라고 보고 1차로 매도함.

- 이후 쭉 하락하다가 반등을 줌. 그 이후 다시 빠져서 직전 저점을 깨고 내려갔을 경우는 매우 강력한 매도의 신호이자 추세 반전의 신호이므로 전량 매도

 

 

2. 거래량

- 가격이 상승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상승강도가 강해지는 것

- 가격이 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것은 하락강도가 강해지는 것

- 가격이 상승하면서 거래량이 없다가 갑자기 거래량이 터졌을 경우는 곰이 나타난 것임. 추세 전환 가능성이 있음. 비록 음봉이 발생하지 않다 하더라도 곰이 나타난 것으로 봐야함.

- 주가가 많이 올라간 상태에서 거래량이 터지는 것은 무조건 안좋음.

-  반대로 주가가 많이 빠진 상태에서 거래량이 터지는 것은 좋은 것음. 황소가 나타난 것으로 봐야함. 매수신호

- 거래량은 주가의 레벨과 관련이 있음

- 중간에 올라갈 때, 내려갈 때 거래량이 없어야 함.

- 떨어질 때 거래량이 없는 종목을 골라야 함. 떨어질 때 거래량이 많은 종목은 올라갈 때 매도 물량이 많음.

 

 

3. 주가

- 주가의 기울기는 영업이익의 기울기
- 가파르게 상승한 종목은 가파르게 하락
- 주가의 기울기가 가파른 종목은 짧게 타이밍을 잡아야함.
- 가파르게 오른 종목 중 빠질때 조금만 빠지고 다시 가는 종목은 강한 종목, 진짜 센 종목
- 가파르게 오른 종목이 길게 빠지는 경우는 다시 못오를 가능성이 높음
- 주가의 상승과 하락은 누군가 위에서 사거나 아래에서 사야함.
- 매수호가 잔량, 매도호가 잔량은 상승, 하락과 반대.
- 주가가 오를 때 매수 잔량은 엄청 많으나 매도 잔량은 없고 주가는 못오르면 상투, 일봉을 보면 명확하게 보임
- 주가가 오를 때 일봉에서 거래량이 터지면서 음봉이 보이면 상투
- 급격하게 하락하는 종목....올라갔다 많이 빠진 종목은 거래량이 실리면서 양봉이 나올 때 사야함. 오후에 판단해야함.
- 아침에 시작할 때 그날 거래량을 파악할 수 있음. 평소와 달리 체결 단위 달라질 때 예를 들면 평소에 200~300주이지면 아침에 갑자기 2000~3000주가 체결되어지면....그날 거래량이 늘게 됨. 이런 경우 거래량이 늘고 그날 양봉이 발생할 수 있음.
- 특이한 거래량이 없을 땐 거래하지 말고 기다림.

 

삼프로TV 신과함께 박병창부장이 말하는 매매의 기술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프로테라(Proterra), ACTC와 스팩 합병 상장

투자자들의 많은 관심을 프로테라(Proterra)가 스팩 ACTC와 합병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합병규모는 1.6B이며 합병시 415M의 물량이 PIPE에 배정됩니다.

 

 

ACTC 21.03 8.84 72.52% : ArcLight Clean Transition Corp. - Yahoo Finance

 

EV-Tech Company Proterra to Go Public Through ArcLight SPAC

(Bloomberg) -- Proterra Inc., which makes electric buses and batteries, agreed to go public through a merger with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ArcLight Clean Transition Corp.The deal represents an enterprise value of $1.6 billion for Proterra and in

finance.yahoo.com

 

ACTC의 상승세가 무섭네요.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루시드(Lucid Motors), CCIV와 합병 루머

테슬라의 대항마로 유명한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가 CCIV와 합병한다는 루머가 있습니다.

커뮤니티에서만 돌아다니는 이야기는 아니고 블룸버그(Bloomberg)에서 기사화 된 내용이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Lucid Motors Is in Talks to List Via Michael Klein SPAC (CCIV) - Bloomberg

 

Bloomberg - Are you a robot?

We've detected unusual activity from your computer network To continue, please click the box below to let us know you're not a robot.

www.bloomberg.com

 

추가로 Lucid와 CCIV와의 연결 고리가 있네요.

CCIV의 operating partner에 있는 Andrew Liveries...

 

이분이....루시드 모터스의 이사회 의장이군요. 

그로 인해서 CCIV는 31.61%가 올랐고 장후 거래에서도 7.14%가 올랐습니다.

상승세가 엄청나네요.

 

커뮤니티에서는 루머인지 진짜인지에 대한 토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직 공식적인 발표가 없었기 때문에 투자시 유의해야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IPOE, Sofi 스팩 합병 분석

IPOE와 Sofi가 합병하는 것이 press release되었습니다.

 

Sofi의 investor presentation을 간단히 살펴보면

 

Sofi는 Fast/Selection/Content/Convenience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인터넷 뱅킹을 사용해보신분들은 아시듯이 리즈너블해 보입니다.

 

사업영역은 예금, 신용대출, 신용카드, 주택담보대출, 학자금 대출, 투자 등등입니다.

경쟁자 대비 Highest LTV와 Lowest CAC를 강점으로 내세웠습니다.

LTV는 Lifetime value로 고객당 창출되는 매출이나 수익, CAC는 Customer Acqusition Cost로 새로운 고객을 유치하는데 드는 비용입니다. 요즘은 LTV/CAC (LTV and CAC ratio)를 회사의 경쟁력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튼 LTV는 높을수록, CAC는 낮을 수록 좋습니다.

 

Sofi의 경영진들입니다. 이력들이 화려하네요.

 

가입자의 증가율입니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증가 속도가 두드러집니다.

참고로 아래 그래프는 연단위 증가율이 아니라 분기당 증가율입니다. 엄청나네요.

그에 따른 성장 속도도 엄청납니다. 2021년에 EBITDA기준으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네요.

 

IPOE와 Sofi의 합병 비율은 1:9이며 Sofi의 기업가치는 IPOE 10달러 기준 8.7B입니다.

현재 IPOE의 주가가 18.74이므로 약 16.3B정도 됩니다.

 

가장 큰 경쟁자이자 valuation을 비교하기 좋은 기업이 스퀘어(Square)입니다.

스퀘어는 향후 성장성을 담보로 많은 가치를 반영하고 있긴 하지만 TTM기준으로는 PSR이 14.12, PER은 336.39입니다.

Sofi는 2020년 기준 PSR은 27이 넘습니다. 매출 기준 Square대비 고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네요.

 

현재 IPOE주가 기준 Sofi의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고 본격적으로 성장이 가속화되는 2023년 예상실적 기준 PSR은 7.7, PER은 82가 되고 2024년 예상실적 기준 PSR은 5.8, PER은 40.14가 됩니다.(Investor Presentation 예상 실적치 기준)

 

현재 Square의 밸류에이션을 비교할 때 2023년에는 PSR기준으로 약 34달러, PER 기준으로는 약 76달러까지 오를 수 있고 2024년에는 PSR기준으로 45달러, PER기준으로는 157달러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quare(TTM) Sofi(TTM) Sofi(2023 F/W) Sofi(2024 F/W)
PSR 14.12 27 7.7 5.8
PER 336.39 - 82 40.14
Stock Price (현재주가) $241.45 (현재주가) $18.74 (PSR기준 적정주가) $34
(PER기준 적정주가) $76
(PSR기준 적정주가) $45
(PER기준 적정주가) $157

이 계산이 맞으려면

1. Investor presentation에 나온 예측에 걸맞는 실적 성장이 이루어져야하고

2. 2024년 이후의 성장이 어느정도 유지되어 현재의 Square와 마찬가지로 미래의 실적을 현재 가치에 반영시킬 수 있어야 하며

3. 현재와 같은 저금리 유동성 환경이 그대로 조성되어야 합니다.

 

양적완화와 같은 유동성 장세가 끝나고 금리가 상승한다면 적정 주가는 더 낮아져야 할 것입니다.

 

간단하게 살펴보았지만 upside가 충분히 열려있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만 하시고...

Sofi의 investor presentation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보시길 바라고...

투자는 항상 at your own risk입니다. 스스로 이것저것 찾아보고 공부하고 난 뒤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권합니다.

 

SoFi Investor Call Deck .pdf
2.05MB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NGA과 합병하는 Lion Electric, 아마존(Amazon)과 계약 확정

NGA(Northern Genesis Acquisition)과 합병을 앞두고 있는 Lion Electric이 아마존(Amazon)과의 전기차 계약을 확정했습니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Lion Electric이 아마존에 전기 트럭 500을 제공,

2026년 부터 2030년가지는 Lion Electric의 생산 capacity 10%를 아마존에 제공하는 계약입니다.

 

Northern Genesis SPAC Rallies On Lion Electric-Amazon Deal Confirmation (yahoo.com)

 

Northern Genesis SPAC Rallies On Lion Electric-Amazon Deal Confirmation

Northern Genesis Acquisition Corp (NYSE: NGA) shares are rallying on news the company has a deal with Amazon.com (NASDAQ: AMZN) for electric vehicles and an equity stake.What Happened: Lion Electric is set to go public with SPAC Northern Genesis Acquisitio

finance.yahoo.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2021년 1월 미국 스팩합병 투표일

1월 6일

IPOC, Clover Health 합병 투표

 

1월 12일

SMMC, Billtrust 합병 투표

 

1월 19일

OAC, Hims 합병 투표

 

1월 20일

ACAM, Carlotz 합병 투표

GHIV, UWM 합병 투표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12/14 SPAC summary

상승 Top 5 스팩
1. BRPA- 14.86 3.11 (+26.47%); 52 week high :11.85
2. IPOB- 29.48 4.05 (+15.93%); 52 week high :29.48
3. LSAC- 16.0 0.79 (+5.19%); 52 week high :16.78
4. OAC- 12.5 0.61 (+5.13%); 52 week high :12.5
5. INAQ- 13.08 0.58 (+4.64%); 52 week high :13.62

하락 Top 5 스팩
1. TPGY- 21.03 -2.97 (-12.38%); 52 week high :26.0
2. THCB- 14.075 -1.815 (-11.42%); 52 week high :17.2
3. TDAC- 12.23 -1.15 (-8.6%); 52 week high :13.95
4. MFAC- 13.25 -0.85 (-6.03%); 52 week high :15.0
5. SBE- 35.71 -2.2 (-5.8%); 52 week high :43.0

거래량 Top 5 스팩

1. BFT- 14.61 0.61 (+4.36%); Volume :35,007,831; ADV:11,753,943
2. TRNE- 24.77 0.0 (0.0%); Volume :8,841,426; ADV:3,261,398
3. IPOC- 11.23 -0.13 (-1.14%); Volume :7,382,743; ADV:5,554,348
4. IPOB- 29.48 4.05 (+15.93%); Volume :6,073,543; ADV:3,418,931
5. GHIV- 11.2 -0.02 (-0.18%); Volume :5,546,745; ADV:2,553,795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