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 시장 (7)
트럼프 당선 이후 시장에 대한 정리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증시는 환호했고 우리나라 증시는 침울했다.

 

S&P500, 나스닥100 모두 2%가 넘는 상승을 보여줬고, 다우지수는 무려 3.6%, 러셀2000은 6% 가까이 올랐다.

트럼프 1기때 중소형주들이 잘 나갔던 그런 모습을 그대해서 인가...

 

 

트럼프 당선이 유력한 상황에서 2560선까지 떨어졌던 코스피는 오늘 반등에 성공했다.

그래봤자 아직 2560선....트럼프 당선이 코스피의 많은 종목들에겐 악재다.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441까지 올랐다.

금리가 이렇게 까지 오름에도 불구하고 증시가 오르면서 오르는 기이한 상황이다.

10년물 금리를 보면 트럼프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금리가 계속 오를지 지켜볼 필요가 있어보인다.

주가의 상승과 채권의 상승은 양립하기 어렵기도 하고

인플레이션 또한 주가에 좋은 재료가 아니다.

 

높은 상승을 기록한 종목에는 주로 금융주가 많았다.
트럼프가 금융 규제 완화 정책을 펼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큰 듯.

눈에 띄는 것은 테슬라. 머스크의 트럼프 올인이 먹히는 듯 하다.

전기차 보조금 철폐는 미국내 테슬라 판매량에 영향을 줄 수도 있는 부분인데
트럼프 2기 시대에 테슬라의 이익 성장이 유지 될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

로봇택시 등의 규제 철폐로 인한 수익의 성장이 중요하고 미국내 전기차 판매량의 유지도 중요할 것 듯.

미국 인프라 사업의 수혜를 입게 될것으로 예상되는 캐터필러도 많이 올랐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등 빅테크는 다 올랐다.

다만 메타와 애플은 하락했는데,

애플은 대중국 관세의 영향을 받을 우려 때문에, 메타는 계정폐쇄 이슈로 트럼프와 척을 진 적이 있어서 그런 듯

 

 

코스피는 조선이 난리 났다.

트럼프로 인한 악재도 전혀 없고 실적이 좋은 대표적인 분야라 그런 듯

방산도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로 인하여 군축이 유지될 거라서 봐서 오르는 듯

반면 2차전지는 안좋다. 트럼프의 IRA폐지로 인한 충격이 가격에 반영되는 듯.

 

아무도 FOMC에 신경쓰지 않고 환호하고 있다.

 

 

시장은 Greedy한 상태다. 이대로 산타랠리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S&P500기준으로 주식은 많이 비싼 편이다.

 

S&P500은 Foward PER기준 22배를 넘어섰다. 

좀 더 올라갈 여지는 있다. 그리고 언제까지 올라갈지는 알 수 없다.

가격이 비싸면 비쌀수록 시장은 내려갈만한 이유가 있는지 눈을 크게 뜨고 찾는다.

그리고 내려갈만한 이유가 될 만한게 있으면 내려꽂는다.

그래서 조심...또 조심해야할 거 같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테이퍼링 논의가 연말에나 가능한 이유 - 현대차증권


이전소득으로 구직 활동이 둔화된 미국 고용시장. 21년말에나 테이퍼링 논의가 가능할 것

경제지표 호조에도 완화적 통화정책을 종료하지 못하는 이유
- 다수의 미국 경제지표들이 시장예상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레 시장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종료 시점 전망을 앞당기고 있음
- 빠르게 개선되고 있는 실업률에도 연준이 쉽게 스탠스를 바꿀 수 없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 1) 경제활동 제약으로 심화된 업종간 차별화. 2) COVID-19 이후 노동 시장으로 복귀하지 않고 있는 사람들 여전히 많다는 점

미국 고용시장에 존재하는 함정
- 첫번째 이유인 업종간 차별화는 집단 면역 시점이 앞당겨지며 함께 개선
- 반면 두번째 이탈한 노동인구의 복귀는 상당시간이 소요될 것
- 미국 경제활동 인구는 61% 중반에서 회복세가 지연되고 있음
- 고용시장에서 수요라고 할 수 있는 구인공고 건수는 이미 COVID-19 이전수준을 상회
- 경기 개선 전망과 함께 기업에서는 고용을 늘리려고 하나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 많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

연준이 원하는 고용시장 정상화는 10월 이후
- 3월에 통과된 1.9조 달러 경기부양책으로 일정기간 고용 품귀 현상(Shortage)는 지속될 것
- 인프라 법안이 7월 안에 통과된다면 추가 고용 유발을 기대할 수 있으나 민간의 자발적인 고용시작 복귀는 이전소득이 감소하는 시점
- 현재 미국 경제지표가 강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고용시장 정상화 시점은 보다 후행 할 것이며 이전소득이 감소하는 시점을 고려할 때 연준은 4분기 고용 시장 흐름을 확인하고 연말에나 테이퍼링 시점에 대한 논의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 연준(Fed)의 SLR 규제 완화 종료 및 역레포 규모 확대 - 유동성 회수

SLR규제 완화 종료

 

연준이 SLR 규제 완화를 3월 31일에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SLR(Supplemnetary Leverage Ratio)는 연준이 시중은행에 부여한 자본규제 중 하나로 미국 대형은행은 총자산(국채, 대출, 지급준비금, 파생상품 등) 대비 자기자본을 일정 비율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2020년 4월에 연준은 SLR 규제를 완화했습니다. 총자산에서 국채와 지급준비금을 제외시켜서 은행들의 SLR비율을 높여준 것입니다. 이를 통해 대형은행들은 국채를 더 사들일 수 있게 하여 국채 금리를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게 했습니다.

 

SLR 규제 완화가 종료되면 국채의 수급에 문제가 생겨 국채 금리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연준은 SLR 규제 완화와 더불어 규제를 수정하겠다고 언급하기도 했는데

어떤 방식으로 바뀌냐에 따라서 수급에 끼치는 영향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The Fed will not extend a pandemic-crisis rule that had allowed banks to relax capital levels

The Fed declined to extend a pandemic-era rule that relaxed the amount of capital banks had to maintain against Treasurys and other holdings.

www.cnbc.com

 

 

 

역레포(Reverse Repo) 규모 확대

 

의외로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역레포 한도를 확대하는 내용입니다.

연준은 3월 FOMC에서 역레포(Reverse Repo) 한도를 하루 300억달러에서 800억달러에서 확대했습니다.

 

레포는 시중은행들이 국채를 담보로 연준에게 급전을 빌리는 것입니다. 반대로, 연준이 시중은행에게 돈을 빌리는 거래를 역레포입니다.

 

연준이 역레포 한도를 확대한 시중에 특히 단기 채권 시장에 현금이 넘치기 때문입니다.

넘치는 현금으로 인하여 초단기금리가 마이너스로 가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는 연준의 기준금리(0~0.25%)에 반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1년들어서 1년 이하 단기 국채의 금리는 거의 0%에 붙어있어 마이너스로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역레포한도를 확대함으로써 시장의 단기자금을 흡수하여 초단기 금리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상황을 방지하려는 것입니다.

기존에 많이 언급되었던 IOER같은 제도 대신 역레포한도 확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듯 보이는데 연준의 의도대로 해결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이것이 해결이 안된다면 또 다른 유동성 흡수 정책이 나올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시장은 단기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Statement to Revise Terms of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directed the Open Market Trading Desk (the Desk) at the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to conduct overnight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ON RRP) operations with a per-counterparty limit of $80 billion per day, ef

www.newyorkfed.org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3월 FOMC - 3년간 금리 인상 없다지만..말이 조금씩 바뀌는 Fed

 

큰 이벤트였던 3월 FOMC에 대한 기사입니다.

 

요약하면

-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상향 조정(작년 말엔 4.2% 전망)

- 내년 성장률도 3.3%로 양호할 것. 그 이후엔 2.2% 성장.

- 지난달 6.2%였던 실업률은 연말에 4.5%까지 하락(작년 말엔 5.0% 전망)

- 올해 인플레이션은 2.2% 상승(작년 말엔 1.8% 전망)

 

 

 

"3년간 금리 인상 없다지만…" 말이 조금씩 바뀌는 Fed [조재길의 지금 뉴욕에선]

미국 뉴욕증시가 기다려온 중앙은행(Fed) 이벤트가 마무리됐습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가 이틀간의 일정을 마친 뒤 해산했고, 제롬 파월 Fed 의장은 약 한 시간동안 성명서 낭독

news.naver.com

 

 

Fed의 3월 FOMC 금리 점도표도 다소 매파적으로 변했습니다.

2022년 말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인원과 2023년말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인원이 늘었네요.

2023년에 금리를 인상한다면 2022년에는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따라서 올해 9월 또는 12월 FOMC에서 테이퍼링 시작에 대한 언급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10년물 국채금리가 안정적이면 괜찮을까요? FOMC관련 우려점...

 

나스닥이 큰 반등을 해서 심리가 좋아진 것 같습니다.

그 이면에는 국채금리의 하락이 있고요.

3년물 국채 입찰 결과 때문인지...10년물 미국채는 1.5%대 초반까지 내려왔습니다.

1.5%대도 얼마전엔 높다고 난리쳤던 그 물가인데 이젠 심리적으로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니면 저가매수가 들어온건지...절대적인 금리 1.5%는 사실 많이 낮은 편이긴 합니다.

 

 

 

국채 금리를 자극했던 인플레이션 대표주자 유가, 구리 가격도 내렸네요. 좋습니다.

국채 금리 안정에 도움을 주는 움직임들이네요.

 

 

국채금리 10년물 - 3년물 금리 스프레드, 코로나 폭락 이후 최고점을 찍고 있습니다.

스프레드가 벌어지는 건 올 상반기에 지속되고 있는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때문만은 아닙니다.

 

 

 

 

3개월물 국채 금리입니다.

10년물 국채 금리와 달리 3개월물은 금리가 많이 내렸습니다.

스프레드가 벌어지는 이유에는 장기채 금리상승, 단기채 금리 하락 두가지 다 포함되어 있습니다.

 

 

Fed는 장기채의 금리 상승에 대해서 걱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3월 FOMC에서도 장기채 관련 정책은 없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하지만 단기채는...Fed가 제어해야하는 영역입니다.

특히 하루 단위로 빌리는 초단기채나 콜금리가 마이너스로 가는건 Fed가 싫어합니다.

초단기채는 기준금리 연동 이슈도 있고 MMF도 있고...엮인게 많죠.

단기채 시장에 몰린 유동성을 줄여줘야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3월 FOMC에서 단기채 관련 정책이 나올지가 관건입니다.

혹자들이 말하는 Operation Twist를 실행하면

전체 유동성은 그대로 두면서 단기채 시장의 유동성만 줄여주는 효과가 있긴한데

장기채 금리에 상승을 용인하는 분위기에서 과연 Operation Twist를 할지 모르겠습니다.

 

문제는 장기채 시장은 놔두고 단기채 시장에서 유동성만 제거하여 안정화하는 정책을 펴는 건데,

이때 어떤 충격이 있을지 모르겠네요.

 

물론 아무 정책이 나오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걱정을 사서 하게되는 거죠.^^

3월 FOMC가 끝나기 전까지 불확실성은 여전한거 같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국채(장기채) 금리 상승과 나스닥의 하락, Fed는 우는 아이에게 사탕을 줄까요?

방금 확인해보니 3대 지수 선물이 모두 플러스로 전환되었네요.

단기적이긴 하지만...조금은 심적으로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상황인것 같습니다.^^

 

나스닥 지수가 최근에 많이 하락하고 있고 그 원인이 미국 국채금리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가파르게 올라가면서

성장주의 기대수익률보다 채권 수익률이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했고

당연히 성장주의 매력도가 떨어지게 되면서 자금들이 경기민감주나 전통 산업쪽으로 많이 옮겨간 상황입니다.

 

사실 절대적인 금리 1.5~1.6%는 절대 높은 수준이 아니지만

가파르게 올라온 금리로 인하여 성장주에 대한 시장의 심리가 급격히 안좋아진 것만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이러다보니 16일부터 열리는 FOMC를 쳐다보게 됩니다. 이 상황을 반전시킬만한 뭔가 선물을 주지 않을까?

장기국채 매입을 늘린다던가, Operation Twist나 YCC같은 정책이 나오면 시장에서 환호하겠죠.

하지만 분위기는 쉽게 선물을 주지 않을 듯 한 분위기입니다.

현재의 국채 금리는 용인할만한 수준이라고 본다는 comment들이 많은 연준위로부터 나왔죠.

 

여튼 다들 10년물 국채 금리를 눈여겨 보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10년물 국채 금리만 문제일까요?

 

 

 

위 그래프는 10년만기 국채와 3개월 만기 국채의 금리 스프레드를 나타낸 것입니다.

2020년 4월 코로나때 한번 튀고난 뒤 스프레드가 줄었다가 최근 다시 급격히 늘어나는 모습입니다.

 

과연 이것이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 때문에만 일어난 걸까요?

 

 

 

 

위 그래프는 1개월, 3개월, 6개월 국채 금리를 나타낸 것입니다. 10년물과 다르게 조금씩 내려가서 0%를 향하고 있습니다. 최근 초 단기 금리는 마이너스까지 떨어진 상태이구요. 스프레드가 벌어지는 이유에는 장기채 금리 상승과 단기채 금리 하락이 동시에 벌어지고 있는 것이죠.

 

Fed는 현재 장기채 금리의 상승을 그리 큰 문제로 보고 있지 않지만 단기채 금리는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초단기 금리가 Fed가 정한 기준금리 밴드 0~0.25%안에 있지 않고 마이너스 금리로 내려가게 되면 Fed는 두 손을 걷고 금리를 조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리가 낮다는 것은 단기채 시장에 유동성이 풍부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유동성을 줄이면 초단기 금리의 하방을 막을 수 있게 되겠죠.

문제는 유동성을 흡수한다는데 있습니다. 이것이 주식 시장에 어떤 반응을 일으킬까요?

Operation Twist와 같이 현재 시장의 유동성을 회수하지 않고 장단기 금리를 조절하는 방법이 가장 좋긴 하겠지만

만약 단기채 시장의 유동성을 회수하는 방향으로만 움직인다면 시장에 좋을지 나쁠지....모르겠네요.

 

잘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미국 국채 금리 급등, 테슬라 폭락...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가 심상치 않습니다.

어제 밤에 윗꼬리를 달고 내려오긴 했지만 1.53%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시장에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금리 인상에 대한 공포가 큰 것 같네요.

국채를 투자하신 분들은 아마도 손실이 클 것 같습니다.

 

급격한 금리 상승은 주식 시장에도 좋지 않습니다. 특히, 금리 상승은 성장주에 최악이죠.

미국 S&P500내에서도 성장주의 대표격인 테슬라의 하락세는 유난히 큰 편입니다.

 

미국 S&P500의 평균 배당률은 1.5%가 안되는데 시장금리가 1.5%가 넘는다는 것은

채권에 비해 주식의 매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데,

특히 테슬라 같이 배당도 안나오고 성장만 바라보는 회사들은 더더욱 매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금리가 안정되어야 시장의 발작이 멈출 것 같은데

아무래도 파웰의 립 서비스로는 투자자들이 만족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립서비스가 아닌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정책을 원하는 투자자와 쉽게 정책을 말하지 않는 Fed의 힘겨루기가 이어지면 이어질수록 시장의 발작은 또 나올 수 있고 큰 변동성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Fear & Greed Index입니다. 52정도로 Fear구간에는 진입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만약 폭락이 몇번 나타나면 Index가 급격하게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런 일이 벌어진다면 공포스럽겠지만 적극적으로 주식을 사야할 시점이기도 합니다.

최근 10년 금리 상승 & 증시 폭락 관련 좋은 글...

 

 

금리 상승이 증시 폭락 야기. Again and again

1. 오늘도 금리 상승이 증시 하락을 야기시켰다. 파월의장의 말빨이 오늘은 더 이상 안 먹혔다. ​ 10년물 금리는 1.6%까지 올랐다. SP500 배당률이 1.5%이니 10년물 국채를 사는게 SP500을 사고 배당받

bajae007.tistory.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