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스팩글 (117)
NGA과 합병하는 Lion Electric, 아마존(Amazon)과 계약 확정

NGA(Northern Genesis Acquisition)과 합병을 앞두고 있는 Lion Electric이 아마존(Amazon)과의 전기차 계약을 확정했습니다.

 

2021년부터 2025년까지 Lion Electric이 아마존에 전기 트럭 500을 제공,

2026년 부터 2030년가지는 Lion Electric의 생산 capacity 10%를 아마존에 제공하는 계약입니다.

 

Northern Genesis SPAC Rallies On Lion Electric-Amazon Deal Confirmation (yahoo.com)

 

Northern Genesis SPAC Rallies On Lion Electric-Amazon Deal Confirmation

Northern Genesis Acquisition Corp (NYSE: NGA) shares are rallying on news the company has a deal with Amazon.com (NASDAQ: AMZN) for electric vehicles and an equity stake.What Happened: Lion Electric is set to go public with SPAC Northern Genesis Acquisitio

finance.yahoo.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2021년 1월 미국 스팩합병 투표일

1월 6일

IPOC, Clover Health 합병 투표

 

1월 12일

SMMC, Billtrust 합병 투표

 

1월 19일

OAC, Hims 합병 투표

 

1월 20일

ACAM, Carlotz 합병 투표

GHIV, UWM 합병 투표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12/14 SPAC summary

상승 Top 5 스팩
1. BRPA- 14.86 3.11 (+26.47%); 52 week high :11.85
2. IPOB- 29.48 4.05 (+15.93%); 52 week high :29.48
3. LSAC- 16.0 0.79 (+5.19%); 52 week high :16.78
4. OAC- 12.5 0.61 (+5.13%); 52 week high :12.5
5. INAQ- 13.08 0.58 (+4.64%); 52 week high :13.62

하락 Top 5 스팩
1. TPGY- 21.03 -2.97 (-12.38%); 52 week high :26.0
2. THCB- 14.075 -1.815 (-11.42%); 52 week high :17.2
3. TDAC- 12.23 -1.15 (-8.6%); 52 week high :13.95
4. MFAC- 13.25 -0.85 (-6.03%); 52 week high :15.0
5. SBE- 35.71 -2.2 (-5.8%); 52 week high :43.0

거래량 Top 5 스팩

1. BFT- 14.61 0.61 (+4.36%); Volume :35,007,831; ADV:11,753,943
2. TRNE- 24.77 0.0 (0.0%); Volume :8,841,426; ADV:3,261,398
3. IPOC- 11.23 -0.13 (-1.14%); Volume :7,382,743; ADV:5,554,348
4. IPOB- 29.48 4.05 (+15.93%); Volume :6,073,543; ADV:3,418,931
5. GHIV- 11.2 -0.02 (-0.18%); Volume :5,546,745; ADV:2,553,795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Weedmaps, SSPK와 합병

대마 관련 회사인 Weedmap이 SSPK와 합병을 발표했습니다.

Weedmap의 밸류는 1.5B의 규모이며 SSPK를 통해 250M달러를 조달하며 그외 PIPE를 통해 325M를 조달하게 됩니다.

 

 

 

Cannabis Site Weedmaps To Go Public

The Techee - Tech news brought straight to you

www.thetechee.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SoFi 스팩(SPAC) 합병 추진

미국 인터넷 은행업체인 SoFi가 스팩합병을 통한 상장을 논의하고 있다는 기사가 났습니다.

 

관련하여 요즘 핀테크 합병을 목표로 하는 스팩들의 주가가 들썩이고 있네요.

4.8B정도의 기업가치를 인정받는 회사이니만큼 꽤 규모가 큰 스팩이어야 할 듯 하네요.

 

커뮤니티에서 합병 대상으로 많이 언급되고 있는 스팩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GSAH

AACQ

IPOF

CRHC

AJAX

FUSE

WPF

 

과연 어느 회사와 합병하게 될까요?

 

 

Exclusive: Online lender SoFi explores deal to go public - sources

Online lending startup Social Finance Inc (SoFi) has held discussions with blank-check acquisition companies about a deal that would allow it to debut in the stock market,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said on Monday.

www.reuters.com

 

 

Online lender SoFi explores deal to go public, report says

SoFi has held discussions with blank-check acquisition companies about a deal that would allow it to debut in the stock market, sources said.

www.cnbc.com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12월 미국 스팩(SPAC) 합병 투표 일정

12월 8일

TZAC 합병 투표

TRNE 합병 투표

HYAC 합병 투표

 

12월 14일

LFAC 합병 투표

 

12월 15일

OPES 합병 투표

 

12월 16일

FEAC 합병 투표

 

12월 17일

SAMA 합병 투표

IPOB 합병 투표

 

12월 18일

MFAC 합병 투표

 

12월 21일

PTAC 합병 투표

 

12월 22일

LSAC 합병 투표

 

반응형

'이전 스팩글 > 미국 스팩(SPAC)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월 미국 스팩합병 투표일  (0) 2021.01.05
12/14 SPAC summary  (0) 2020.12.15
Weedmaps, SSPK와 합병  (0) 2020.12.14
SoFi 스팩(SPAC) 합병 추진  (0) 2020.12.10
NGA, Lion Electric과 1.5B 합병  (0) 2020.12.01
  Comments,     Trackbacks
NGA, Lion Electric과 1.5B 합병

Northen Genesis Acquisition(NGA)가 Lion Electric과 11월 30일 합병을 발표했습니다.

Lion Electric은 전기 트럭, 버스 등을 생산하는 업체이며 1.5B 기업가치 규모로 합병을 진행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 시총과 합병의 상관관계

관련글


스팩이란?

스팩의 합병 절차

스팩 투자 방법

스팩 상장 이후부터 합병 공시까지 얼마나 걸릴까?

스팩 합병 기업 가치 분석하기

스팩 투자 방법 - 증권사와 발기인 위주로...

스팩의 주식매수청구권


현재 상장되어있는 스팩회사들을 보면 시가총액이 다양합니다.

시가총액이 가장 큰 케이비제9호스팩(276억)부터 가장 작은 IBKS제8호스팩(42억)...


과연 시가 총액은 합병과 연관성이 있을까요? 

시가총액이 스팩을 투자하는데 고려해야할 기준일까요?

스팩의 시가총액에 대해서 분석을 해볼까 합니다.


현재 상장되어 있는 스팩회사들의 평균 시가총액은 110억입니다. 

그 중 2017년에 상장된 스팩회사들의 평균 시가 총액은  약 91.6억입니다. 

스팩회사들의 시가총액이 갈수록 작아지고 있네요.

발기인의 입장에서 시총이 작은 스팩들이 시장에서 합병을 성사시키기에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작은 스팩 회사들이 만들어지고 상장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1. 스팩의 시총이 합병 성사에 영향을 미치는가?


2017년에 합병을 위해 상장예비심사를 진행하여 승인이 난 스팩들의 시총을 살펴볼까요?


- 한화ACPC스팩: 149억

- 엔에이치스팩8호: 137억

- IBKS지엠비스팩: 106억

- 유안타제1호스팩: 120억

- 케이프이에스스팩: 60억

- 하나머스트4호스팩: 83억

- 하나머스트5호스팩: 71억

- 케이비드림4호스팩: 106억

- 케이티비스팩2호: 110억

- 신영스팩2호: 102억

- 유진에이씨피씨스팩: 110억

- 신영스팩3호: 52억


12개의 스팩 중 시총 100억이하의 작은 스팩은 4개입니다. 전체 합병 스팩의 33%를 차지하네요.

2017년의 기록을 놓고 보면 작은 스팩의 합병 성사 확률이 높다고 단정짓긴 어렵습니다만 

현재 합병 절차를 밟고 있는 스팩들의 시총을 보면 조금 양상이 달라보이기는 합니다.


하이제3호스팩: 96억

동부스팩3호: 89억

IBKS제8호스팩: 44억


시간이 지날수록 합병 시장에서 시총이 작은 스팩의 니즈가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코스닥 상장이 수월해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규모가 제법 큰 기업들은 스팩을 위한 우회상장보다는 직상장을 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총이 큰 스팩의 니즈는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2. 스팩 시총이 합병 성사 수익률에 영향을 주는가?


2017년에 상장한 스팩 중 시총 100억 이하의 작은 스팩들의 수익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수익률은 합병상장한 날의 종가와 공모가의 차이를 이용해서 계산하였습니다.


- 케이프이에스스팩: 시총 60억, 수익률: 76.25%

- 하나머스트4호스팩: 시총 83억, 수익률: 36.00%

- 하나머스트5호스팩: 시총 71억, 수익률: 57.25%

- 신영스팩3호: 시총 52억, 수익률: 162.5%


수익률이 아주 훌륭하네요.

시총이 높은 스팩의 수익률은 어떨까요?


- 한화ACPC스팩: 시총 149억, 수익률: 5.50%

- 엔에이치스팩8호: 시총 137억, 수익률: -7.50%

- IBKS지엠비스팩: 시총 106억, 수익률: -9.50%

- 유안타제1호스팩: 시총 120억, 수익률: -23.00%

- 케이비드림4호스팩: 시총 106억, 수익률: -2.25%

- 케이티비스팩2호: 시총 110억, 수익률: 108.25%

- 신영스팩2호: 시총 102억, 수익률: -3.00%

- 유진에이씨피씨스팩: 시총 110억, 수익률: 32.50%


케이티비스팩2호의 경우와 같이 100%가 넘는 수익률을 보여주는 경우도 있지만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스팩들도 꽤 많네요.


스팩 시총이 수익률을 결정짓는 결정적 요인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지만

작은 시총의 스팩 수익률이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스팩의 합병이 결정되고 난 뒤 합병 신주가 상장될 때까지
스팩의 주가는 피합병사의 가치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있습니다. 

시총이 작은 스팩일수록 유통되는 주식수가 적으므로 재료에 쉽게 급등하는 모습이 잘 보이며

이런 부분들이 수익률과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3. 시총이 작은 스팩이 가져다 줄 수 있는 또 다른 수익 기회


개인적인 경험으로 시총이 작은 스팩에 투자하여 합병과 상관없이 수익을 낸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 유통되는 주식의 수가 적을수록 주가의 변동성이 커지는데,

스팩도 이에 해당되기 때문입니다.


합병상장예비심사를 위해 거래 정지가 된 IBKS제8호스팩입니다.

시총이 42억으로 상장된 스팩 중 가장 작은 스팩인데 변동성이 꽤 큽니다.

합병 직전 종가가 2,735원으로 공모투자를 했다면 벌써 36%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신한제3호스팩입니다. 

시총이 70억인데 뜬금없이 상한가를 기록합니다.

다른 스팩주들의 잔잔한 움직임과는 확연히 다른 움직임을 보여주네요.




보통 스팩주는 공모가인 2,000원내외에서 가격변동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청산가치가 공모가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기에 합병이 성사되지 않는 한 가치가 일정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시총이 작은 스팩주들은 세력들의 작전 대상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시총이 작기 때문에 세력들이 원하는대로 가격을 조정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세력의 작전으로 급등하는 경우, 스팩투자자들에게는 합병과 상관없이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상한가를 기록하거나 가격이 공모가보다 훨씬 높은 경우에는 합병이 성사되기 쉽지 않고 주가는 가치를 따라 원래 제자리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차익을 거두는 것이 바람직하기도 합니다.



쓰다보니 글이 길어졌네요.

결론적으로 스팩을 투자할 때 시가총액도 눈여겨봐야할 부분임이 틀림없습니다.

스팩 투자시 발기인, 증권사와 더불어 시총도 함께 고려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의 주식매수청구권

관련글

스팩이란?

스팩의 합병 절차

스팩 투자 방법

스팩 상장 이후부터 합병 공시까지 얼마나 걸릴까?

스팩 합병 기업 가치 분석하기

스팩 투자 방법 - 증권사와 발기인 위주로...



가끔 스팩의 주식매수청구권 관련 질문이 들어오는데

질문이 있을 때마다 설명하는 것도 힘들고 한 번은 깔끔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을 듯 해서 포스팅합니다.



1. 주식매수청구권이란?

주식매수청구권은 주주총회에서의 특별결의사항에 대하여 반대의견을 갖는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보유한 주식을 정당한 가격으로 매수해 줄 것을 청구하는 권리입니다. 이 제도는 회사의 분할, 합병, 영업 양도 등 존립에 관한 기본사항의 변경에 대해 다수의 의사로 결의되는 경우, 반대하는 소액주주들을 위해 회사가 공정한 가격으로 이들의 보유주식을 매수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로 부당한 분할, 합병 등에 반대하는 소액주주으 보호장치입니다.


스팩에서도 다수의 의결권은 발기인 및 기관투자자가 가지고 있는만큼 피합병회사를 고평가 하는 등 스팩주주에 피해를 입힐만한 합병이 발생할 경우 반대의사를 표하고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팩의 합병 리스크를 줄여주는 효과적인 장치입니다.





2. 주식매수청구시 매수가격은?

주식매수청구시 주식매수예정 가격은 주주와 해당 법인 간의 협의로 결정되게 되어 있습니다. 스팩의 경우 대부분은 "공모가 + 예치금 이자 일부" 정도로 가격을 산정합니다. 하지만 비양심적으로 법인측에서 공모가 이하로 산정하는 경우도 있긴합니다. 이 경우에는 주주측에서 매수예정가를 높여달라고 요구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매수예정가가 조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래는 하나머스트5호스팩 합병에서 법인측에서 제시한 주식매수예정가격 및 산정방법이며 증권신고서(합병)에서 발췌하였습니다.




3. 스팩의 주식매수청구 요건

"언제 투자한 스팩까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가"는 저에게 가장 질문이 많이 들어오는 부분입니다. 아마도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 스팩 투자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서 많은 분들이 관심도 많고 의문도 많은 듯 합니다. 


하나머스트스팩5호의 증권신고서를 통해 주식매수청구요건을 살펴볼까합니다. 주식매수청구요건은 대부분의 스팩들이 대동소이합니다. 물론 혹시 모를 변수가 있을 수 있으므로 합병 증권신고서의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은 꼭 숙지하시는게 좋긴 합니다만 하나의 예를 이해하면 다른 스팩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을 듯 하네요. 


하나머스트스팩5호의 증권신고서(합병)에 나오는 주식매수청구 요건입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에 의거, 주주명부 기준일(2017년 9월 28일)현재 각 사(하나머스트5호기업인수목적(주)와 (주)미래자원엠엘)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는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음을 증명한 주식과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이후에 취득하였지만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날의 다음날까지 해당 주식의 취득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해당함을 증명하는 주식을 보유한 경우에 반대의사 통지를 통한 주식매수청구가 가능하며 각사 주주총회 (2017년 11월 03일 예정)전일까지 하나머스트5호기업인수목적(주), (주)미래자원엠엘에 대하여 서면으로 합병에 관한 이사회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보유한 주식에 대하여 반대의사 통지를 통한 주식매수청구가 가능하다고 되어있습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날짜입니다. 언제일까요? 아래는 하나머스트5호스팩의 주요일정인데 여기에 이사회 결의일이 나옵니다. 6월 14일이네요. 이날은 합병이 공시됨과 동시에 합병상장심사를 위한 주식거래가 중지된 날입니다. 따라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합병이 공시되기 전에 스팩주를 매수해야합니다.





4. 결론

주식매수청구권은 스팩투자에 있어서 리스크를 줄여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그리고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합병공시 전에 스팩을 매수해야한다는 사실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 투자 방법 - 증권사와 발기인 위주로...


관련글

스팩이란?

스팩의 합병 절차

스팩 투자 방법

스팩 상장 이후부터 합병 공시까지 얼마나 걸릴까?

스팩 합병 기업 가치 분석하기





스팩이 IPO를 거쳐 기관 및 개인 투자자를 모집하기 전, 설립을 해야하는데 이때 자본이 필요합니다.

설립 초기에 자본을 투자하는 이들을 발기인(Initiator)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주관 증권사와 투자사들이 발기인으로 함께 참여합니다.


발기인들은 공모가의 절반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스팩주를 배당받거나 전환사채(CB)를 발행받는 조건으로

초기 자본에 참여하게 됩니다.


스팩을 투자하는데 있어서 발기인들을 눈여겨 보아야하는 이유는

이들도 투자자이며 동시에 합병 기업을 물색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기인의 역량에 따라 합병의 성패가 갈릴 수 있습니다.


스팩의 발기인은 금융감독원 공시 사이트이나 네이버 증권에서 열람 가능한 투자설명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은 IBKS제6호스팩의 투자설명서를 캡쳐한 것입니다.

발기인으로 위드인베스트먼트, 티에스인베스트먼트와 주관증권사인 IBK투자증권이 발기인으로 참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팩을 투자할 때, 스팩주의 가격과 더불어 어떤 발기인이 참여했는지를 체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발기인에 따라 합병확률이 차이가 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떤 발기인이 있는 스팩이 좋을까요?

어떤 발기인이 참여한 스팩에 투자해야할까요?




100% 정답은 없지만 과거 좋은 합병 실적을 올린 발기인이 능력이 있고 앞으로도 좋은 합병을 성사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게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스팩의 발기인은 크게 주관 증권사와 전문 투자사(혹은 투자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2014년 5월 이후 현재(2017년 6월말)까지 합병의 합병 실적을 기준으로 어느 증권사가 뛰어난 실적을 거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합병 성사 건의 독보적인 증권사는 KB투자증권NH투자증권입니다.
KB투자증권은 총 7건의 합병을 성사시켰고 NH투자증권은 6건의 합병을 성사시켰습니다.
두 증권사의 모든 합병이 성공적이었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합병이 성사 되어야 수익의 기회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KB와 NH 모두 투자 시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IBK투자증권은 합병 건수는 적지만 합병을 통해 높은 수익률을 보여주었습니다.
합병일 종가 기준으로 IBKS2호스팩과 지엠팔텍의 합병은 174%의 수익을 거두었고
IBKS4호스팩과 솔라텍스의 합병은 66%의 수익을 거두었습니다.
현재 IBKS지엠비스팩이 세화피앤씨와 합병을 앞두고 있는데 어느정도의 실적이 거둘지 궁금하네요.


현재 미래에셋대우로 합병된 구 미래에셋증권과 대우증권은 쎄노텍(미래에셋제4호스팩)과 토박스코리아(대우SBI스팩1호)의 합병을 통해
각각 175%, 171%의 수익을 거두었습니다.
현재 합병된 미래에셋대우 역시 향후 스팩시장을 기대해볼만 한 것 같습니다.


그외 나머지 증권사들의 합병 성사 수는 아래 테이블로.... 

 

증권사

합병 건수

주요 합병 사례

KB투자증권

7

 화이브라더스, 프로스테믹스, 액션스퀘어

NH투자증권

6

 바디텍메드, 큐브엔터, 이노인스트루먼트

한화투자증권

3

 우정비에스씨, 디알텍

교보증권

3

 엑셈, 닉스테크

대신증권

2

 와이케이아이, 넵튠

한국투자증권

2

 엔터메이트, 씨아이에스

IBK투자증권

2

 지엘팜텍, 솔트웍스

하나금융투자

2

 우성아이비, 셀바스 헬스케어

케이프투자증권

2

 정다운, 켐트로스

SK증권

1

 한강인터트레이드

신한금융투자

1

 드림시큐리티

미래에셋증권

1

 쎄노텍

동부증권

1

 미스터블루

키움증권

1

 SGA솔루션즈

유진증권

1

 나노

유안타증권

1

 글로벌텍스프리

대우증권

1

 토박스코리아


 


스팩합병에 있어서 증권사보다 더 중요한 발기인은 투자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합병할 회사를 찾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합병 건수에 있어서 독보적인 투자사는 ACPC(에이씨피씨)와 위드인베스트먼트 입니다.
수익 창출 기회에 있어서 두 투자사가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스팩은 투자할만 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SBI(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는 최근 들어 수익이 높은 합병을 잇달아 성사시킨 회사입니다.
2017년 상반기의 최고의 수익을 거둔 대신밸런스제2호스팩과 와이케이아이, 대우SBI스팩1호와 토박스코리아와의 합병 건 모두 SBI인베스트먼트의 작품입니다.

최근에 핫한 케이프이에스와 켐트로스의 합병, 엘아이지2호스팩과 정다운의 합병을 주도한 한울파트너스도 눈여겨 볼만합니다.

이 이외에도 여러 투자사들이 합병을 성사시켰으며 수익율이 꽤 난 경우도 많습니다만 합병 건수나 수익율에 있어서 독보적이지 않은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스팩 관련 실적으로 유명한 주관 증권사과 투자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스팩 투자하시는데 참고하시길 바라고....
반드시 명심할 것은 과거의 합병 성사 건수 및 수익율이 미래의 합병 성사와 수익율을 보장해주지 않습니다.
참고만 하시고 제가 언급한 증권사 및 투자사 외 다른 좋은 증권사, 투자사도 있으니
스스로 공부하시고 자신만의 기준을 만들어 투자하시는 것이 좋을 것을 추천 드립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 합병 기업 가치 분석하기

관련글

스팩이란?

스팩의 합병 절차

스팩 투자 방법

스팩 상장 이후부터 합병 공시까지 얼마나 걸릴까?




스팩 합병이 결정되고 거래가 정지되고 난 뒤 

투자자 입장에서 가장 궁금한 부분은 '얼마나 수익을 거둘 수 있을까?'가 아닐까 싶습니다.


사실 수익을 얼마나 거둘 수 있을지 예측하는 것은 신의 영억입니다.

다만, 스팩 합병기업의 가치를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합병 비율이 적절한지, 투자를 계속할만한지 판단하는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이번엔 스팩 합병 기업의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PER, PBR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우선 PER과 PBR의 정의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어로 한 주 당 얼마의 순이익을 내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ER =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PBR은 Price Book-value Ratio로 한 주당 순 자산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 = 시가총액 / 자본 총계


PER, PBR에 대해 더 자세히 알기 원하시면 아래 포스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PER, PBR, EPS, ROE - 꼭 알아야할 투자 지표들





스팩 합병 기업의 PER과 PBR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합병 기업의 시가총액과 당기순이익, 자본 총계를 알아야 합니다.


스팩 합병이 결정되면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가 공시되는데

해당 문서를 이용하면 시가총액과 당기순이익, 자본총계를 알 수 있습니다.

해당 문서는 금융감독원 공시 사이트에서 열람할 수 있으며

네이버 금융 사이트의 전자공시 항목에서도 열람할 수 있습니다.


시가 총액은 주가를 발행된 주식수로 곱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합병기업의 시가총액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합병기업 시가총액 = 합병가액 x (스팩주식수 + 합병신주)


최근 회사 합병이 공시되고 주식매매 거래정지 된 IBKS제3호스팩을 예로 계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요사항보고서에 나온 합병가액입니다.



이주요사항보고서에 나온 IBKS제3호스팩의 발행주식수(합병법인의 발행주식총수)



합병회사의 발행 신주(보통주식+종류주식)와 피합병사인 영구크린의 자본총계, 당기순이익입니다.



주요사항보고서에 나온 

IBKS제3호스팩의 합병가액은 2,000원,

발행된 IBKS제3호스팩의 주식수는 4,500,000주,

합병시 새로 발행되는 합병신주는 16,040,991주,

피합병기업인 영구크린의 자본 총계는 3,110,765,100원, 당기순이익은 1,160,411,503원


시가 총액은 2,000 x (4,500,000 + 16,040,991) = 41,081,982,000원
약 410억 정도네요.

PER과 계산해 보겠습니다.

PER = 41,081,982,000 / 1,160,411,503 = 35.40

PBR = 41,081,982,000 / 3,110,765,100 = 13.21

PER이 35.40로 아주 높군요. PBR도 13.21로 높은 편이고...

참고로 코스피 기업의 평균 PER은 10내외, 평균 PBR은 1 내외이며
선진국 평균 PER은 17, PBR은 2.2 수준입니다.

동일한 PER이나 PBR 기준을 모든 업종에 적용할 수 없으며,
올해 수익이나 미래 수익에 따라 고 PER, PBR도 투자할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과거 2016년 지표만 놓고 봤을 땐 피합병기업인 영구크린을 너무 고평가하지 않았나 조심스레 생각이 듭니다.

물론 해당 지표를 가지고 투자 여부 및 방향을 결정하는 건 각자 판단해야할 부분입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 상장 이후부터 합병 공시까지 얼마나 걸릴까?

관련 링크

1. 스팩이란?

2. 스팩 합병 절차

3. 스팩 투자 방법





내가 투자한 스팩주가 갑자기 합병한다며 주식거래가 중단될 때의 그 두근거림은 언제쯤 느낄 수 있을까?


스팩은 투자자를 모집하여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뒤 합병할 기업을 찾아다닙니다.

투자자들은 그 시간을 마냥 기다리기만 해야하는데 기다림의 끝은 언제 찾아올 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과거에 합병 성공한 스팩들이 상장할 때부터 합병공시를 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2014년 이후로 상장한 스팩들 중 합병에 성공한 스팩들은 

상장이후 합병 공시까지 약 313일 정도 걸렸습니다.


313일....약 10개월 정도네요.

합병 공시 이후 합병까지 5개월정도 더 소요되므로 상장부터 손익실현까지는 평균적으로 약 15개월정도 된다고 보면 될 듯합니다.





합병에 성공한 스팩들의 상장부터 합병공시 소요시간을 나타낸 차트이며 세로축이 일수(day)를 나타냅니다.

합병공시까지의 평균 소요 시간은 313일이지만 차트로 놓고 보면 range가 꽤 넓습니다.

가장 적게 소요된 31일부터 가장 많이 소요된 757일까지...


빈도로 본다면 100~200일과 300~400일정도 소요된 경우가 가장 많습니다.

특히, 2016년 이후로는 합병시 300일 이상 소요되는 경우가 대다수였고

200일 이하로 소요되는 경우는 한건도 없었습니다.

200일 이하로 소요되는 경우는 한 건만 있었습니다.(IBKS지엠비스팩 - 165일)


결론적으로

확률적으로 상장한지 1년정도 지난 스팩에 투자하는 것이 합병의 기다림을 줄이는데 유리한 편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 투자 방법

관련 링크

1. 스팩이란?

2. 스팩 합병 절차



스팩을 투자하는 방법은 주식을 투자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다만, 원금 보장 여부나 수익을 고려하는 관점에서 3가지로 크게 나누어 보고자 합니다.



1. 스팩 공모주 청약


스팩은 증권시장에 상장되는 회사입니다. 

따라서 기업공개(IPO)시 청약이 가능합니다.

공모가는 보통 한 주당 2000원이므로 증권시장에서 2000원보다 싸게 매수할 수 없는 경우 

스팩주를 공모 받는게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2018년 상반기까지는 2000원 미만의 상장된 스팩이 많았습니다.

아래 그림은 2017년에 상장한 IBKS제6호스팩의 주가 차트입니다.




상장 첫날과 둘째날 공모가 2,000원에 한번 도달 했을 뿐 그 뒤로 줄곧 2000원 이하로 거래됩니다.


상장 이후 공모가를 밑도는 현상은 IBKS제6호스팩에만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아래는 2017년에 상장한 스팩들을 정리한 테이블입니다.


 스팩

청약경쟁율 

공모가

현재가 

 IBKS스팩6호

 0.58:1 

 2,000 

 1,970 

 미래에셋대우스팩1호

 86.39:1

 2,000  

 1,985

 엔에이치스팩10호

 1.21:1

 2,000

 1,960

 한화에이스스팩3호

 130.07:1

 2,000

 2,025

 케이비스팩11호

 0.53:1 

 2,000

 1,965

 신영스팩3호

 61.90:1

 2,000

 2,000

 대신밸런스스팩4호

 0.03:1

 2,000

 1,975

 신한스팩3호

 0.27:1

 2,000

 2,005

*현재가는 2017년 6월 20일 종가 기준.


2018년 상황처럼 공모가 2000원 미만의 스팩을 증시에서 거래할 수 있다면 코스닥에서 사는게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2020년 2월 현재의 스팩의 가격이 아래 그림과 같이 공모가 2000원 미만인 경우가 거의 없습니다. 시장 상황이 아래와 같을 때엔 공모주 청약을 통해 스팩을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코스닥에서 스팩주 매수 - 합병 공시 전


앞에서 언급했듯이 스팩이 상장한 이후 공모가인 2000원을 밑도는 시기가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스팩 투자 방법은 주식시장에서 2000원 이하의 합병 공시가 없는 스팩을 매수하는 것입니다.


스팩이 '바닥이 있는 주식투자'로 불리우는 이유는 

합병이 성사되지 못하여 청산할 때 원금이 보장되며

합병시 손실이 날 수 있는 상황에선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합병 공시가 나오지 않은 스팩주를 2000원 이하에 매수하면

합병이 성사되지 못한 경우에 공모대비 조금이라도 더 많은 수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또한 합병 공시 전에 매수한 경우, 

비정상적으로 피합병사의 가치를 산정하여 합병이 진행된다 하더라도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아래는 하나머스트4호스팩의 차트입니다.




차트 상에서 최저가는 1955원이며 공모가보다 낮은 주가가 상당기간 유지되었음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1955원에 매수하였다면, 합병실패로 청산하는 경우 1.5% 연이자 기준으로 2090원이 지급되므로 약 7%의 수익을 거둘 수 있으며 공모가 대비 수익율이 높게 됩니다.

하나머스트4호스팩의 차트에서 보듯이 합병에 대한 기대감으로 뜬금없이 급등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합병과 상관없이 매도하여 손익을 실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2020년 2월 현재에는 공모가보다 낮은 주가를 형성한 스팩이 없는 상황입니다.




3. 코스닥에서 스팩주 매수 - 합병 공시 후


스팩이 합병을 공시 한 뒤 주식 거래가 중지되고 몇 달여간 예비 상장 심사를 받습니다.

그리고 나서 승인이 난 뒤 주식 거래가 재개되는데 이때 매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주식 거래가 재개될 때 스팩주는 피합병사의 가치에 따라 움직입니다.

따라서, 피합병사의 가치가 적절히 평가되었고 합병 비율도 적절하며

동시에 거래 재개 이후의 스팩주의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판단될 때 시장에서 매수하면 됩니다.


원래 스팩은 주식 매수 후 합병 소식이 나올 때까지 하염없이 기다려야 하지만

이렇게 매수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단기간에 수익을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수익이 아니라 손실이 날 수도 있고, 주식매수청구권도 행사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위 차트는 이노인스트루먼트와 합병한 엔에이치스팩5호의 것으로 

거래 정지 이후 재개된 이후에도 주식은 2000원 이하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때 매수를 했다면 약 5개월 뒤 50%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주식 거래 재개 이후 매수가 항상 장미빛 미래만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드림시큐리티와 합병한 신한제2호스팩의 차트입니다.

신한제2호스팩은 주식 거래 재개 이후 2100원대에 머무르다가 갑자기 1300원대까지 급락했습니다.

만약 거래 재개 이후에 해당 주식을 매수했다면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으므로

손실을 그대로 떠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가장 추천하는 스팩 투자 방법은

코스닥에 상장된 합병이 공시되지 않은 스팩 가운데 

공모가 이하로 거래되는 스팩주를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매수하는 것입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의 합병 절차

관련 링크

1. 스팩이란?


이번엔 스팩의 합병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합병 이사회 결의

스팩이 IPO를 통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뒤 

발기인은 열심히 합병할 우량한(?) 비상장사를 물색하게 되며

합병할 회사를 정해서 합병 조건 및 비율을 협의한 뒤 이사회에서 합병을 결의하게 됩니다.

이때까지 일련의 일들은 외부로 알려지지 않습니다.


2. 주식 거래 정지 및 합병 공시

이사회에서 합병을 의결한 뒤 합병을 공시하게 되는데, 그와 동시에 스팩 주식의 거래가 정지됩니다.

합병 공시 및 주식 거래 정지 전에 보유한 스팩주에 대해서만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합병 공시 이후의 스팩주 거래는 유의해야 합니다.


3. 상장예비심사

스팩 거래가 정지되어 있는 기간동안 상장예비심사가 이루어집니다.

이 시기에 합병이 결렬되어서 주식거래가 재개 되는 경우도 꽤 됩니다.



4. 주식거래 재개

상장예비심사 결과 합병 승인이 나면 주식 거래가 재개 됩니다.

이때 스팩 주식의 가격 변동이 꽤 크며

스팩주의 가격은 피합병사의 가치에 따라 움직이는 모습을 보입니다.

따라서 피합병사가 우량하며 합병조건이 스팩 투자자 입장에서 매력적인 경우 스팩주의 가격은 상승하게 되며

반대로 피합병사가 기대이하이거나 합병 조건이 매력적이지 않는 경우 하락하게 됩니다.

합병 조건이 불합리하다고 느껴지면 주주로서 합병 반대 의사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주주총회가 열려 합병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

만약 합병이 승인되었으나 피합병사의 가치 평가가 잘못되어 손실이 날 것이 염려된다면

주총 이후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하여 원금에 플러스 알파를 돌려받으면 됩니다.


6. 합병

사명이 피합병사로 변경되며 신주가 상장됩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한국스팩] 스팩이란?

 

 

투자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 중 하나가 원금 보장 여부이며 또 다른 하나는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는지 일 것입니다.

그런 측면에서 스팩은 원금을 지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면서 동시에 최소한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주요 투자처라고 생각됩니다.

 

스팩이란? 

 

스팩(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어로 

비상장기업 인수합병(M&A)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 컴퍼니(Paper Company)입니다.

 

 

스팩은 IPO(기업공개)를 통해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모아서 주식시장에 먼저 상장한 후,

유망한 비상장기업을 합병하여 주식시장에 상장시키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로써 일반투자자는 스팩 주식 매매를 통해 기업 인수에 간접참여하고

비상장사인 피인수기업은 병합됨과 동시에 증시에 상장되는 효과가 있게 됩니다.

 

스팩은 상장한 지 3년 이내에 합병 기업을 찾지 못하면 청산하게 됩니다.

그럴 경우 투자한 금액은 어떻게 될까요?

 

스팩은 공모시 모은 자본을 은행이나 한국금융증권에 예치해두며,

예치한 금액에 대해서는 이자가 지급됩니다.

따라서 합병 기업을 찾지 못해 청산할 때에는 투자자에게 원금+이자가 정산되기 때문에

원금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은행 이율 정도에 해당하는 수익도 얻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스팩은 '바닥이 있는 주식 투자'로 불리기도 합니다.

주가 상승 가능성은 무한한 데 비해 손실 가능성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원금이 보장되기 때문에 스팩은 공모가(보통 2000원)를 크게 밑도는 경우가 드물고
합병을 통해 주가가 오를 확률이 있습니다.

 

다만 비상장사의 가치를 지나치게 높게 평가해서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니 투자시 유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코스닥 상장 스팩, 발기인 정보 - updated 2017/10/10

2017년 8월 30일 기준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합병이 진행되고 있지 않는 스팩들입니다.

 

 

회사 증권사 상장일 발기인 시총
엔에이치SL스팩 NH 2014-12-23 에스엘인베스트먼트 50
SK1호스팩 SK 2015-03-31 양승재/라이노스투자자문/아주아이비투자/마이다스동아인베스트먼트 110
엔에이치스팩7호 NH 2015-06-12 피에스얼라이언스 96
하이제3호스팩 하이 2015-06-16 플러스에이파트너스/에이케이파트너스/에이케이파트너스 95
골든브릿지제3호스팩 골든브릿지 2015-06-30 시너지아이비투자/최형철/제이원에셋 98
유안타제2호스팩 유안타 2015-07-17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김광호/스마일게이트엔터테인먼트 130
키움스팩3호 키움 2015-07-10 위드인베스트먼트/엠지인베스트먼트/농심캐피탈 134
한화에이스스팩2호 한화 2015-07-20 유승록/임재헌/G&A PE 142
케이비제8호스팩 KB 2015-08-05 김정효 206
케이비드림3호스팩 KB 2015-08-21 디에스벤처스 136
교보5호스팩 교보 2015-08-27 메디치인베스트먼트/에이스투자금융 108
유진스팩3호 유진 2015-09-09 에이씨피씨/남을진/김세연 135
동부스팩3호 동부 2015-10-06 씨와이인베스트먼트 89
IBKS제3호스팩 IBK 2015-10-08 위드인베스트먼트 / 수성에셋투자자문 90
이베스트스팩3호 이베스트 2015-10-19 에스엠시노기술투자/케이클라비스 82
키움스팩4호 키움 2015-10-30 서울투자파트너스 204
에이치엠씨3호스팩 HMC 2015-11-05 디티앤인베스트먼트 130
골든브릿지제4호스팩 골든브릿지 2015-11-18 디앤제이그룹/골든컴퍼스투자자문/퍼스트인베스트먼트 어드바이저스 151
하나금융7호스팩 하나 2015-12-16 지앤텍벤처투자/코오롱인베스트먼트 160
동부제4호스팩 동부 2015-12-18 오퍼스프라이빗에퀴티/첼시투자자문 106
케이비제9호스팩 KB 2016-02-29 최웅/대동인베스트먼트 276
하이에이아이1호스팩 하이 2016-03-08 한울파트너스 99
미래에셋제5호스팩 미래에셋 2016-06-09 마이다스동아인베스트먼트/에스비아이인베스트먼트 96
한국4호스팩 한국 2016-06-22 에이씨피씨 110
교보비엔케이스팩 교보 2016-09-08 위드인베스트먼트/윈스 142
케이비제10호스팩 KB 2016-09-29 정회동  104
SK3호스팩 SK 2016-11-16 엘엑스인베스트먼트/나우아이비캐피탈/하나은행 72
IBKS제5호스팩  IBK 2016-12-02 밸류아시아캐피탈/수성에셋투자자문 90
엔에이치스팩11호 NH 2016-12-28 티에스인베스트먼트 136
신한제3호스팩 신한 2017-02-23 위드인베스트먼트 70
대신밸런스제4호스팩 대신 2017-03-03 지앤텍벤처투자 100
신영스팩3호 신영 2017-04-06 삼호그린인베스트먼트 52
한화에이스스팩3호 한화 2017-05-02 위드인베스트먼트 61
엔에이치스팩10호 NH 2017-05-02 컴퍼니케이파트너스 140
미래에셋대우스팩1호 미래에셋 2017-05-26 플러스에이파트너스/대경창업투자 96
IBKS제6호스팩  IBK 2017-06-01 위드인베스트먼트/티에스인베스트먼트 86
한화수성스팩 한화 2017-06-08 에스에스아이인베스트먼트/수성자산운용 108
교보7호스팩 교보 2017-06-22 위드인베스트먼트/케이비인베스트먼트/지엠비인베스트먼트 120
하나금융9호스팩 하나 2017-06-26 이앤인베스트먼트/아우름자산운용 85
한국5호스팩 한국 2017-07-24 티에스인베스트먼트 80
엔에이치스팩12호 NH 2017-08-07 에이씨피씨 130
하나금융스팩10호 하나 2017-08-22 헤리티지파트너스 / NH투자증권 90
IBKS제8호스팩 IBK 2017-09-29 이에스인베스트터 / 이앤인인베스트먼트 42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투자인가 도박인가 - 스팩에 대한 요즘 시장 반응에 대해

매일 모든 스팩의 주가를 확인하다보면 따분하고 지겨울 때가 많습니다.

대부분의 스팩주들은 요지부동이거든요.

거래량도 적고, 주가의 변동도 적고....


하지만 요즘은 조금 달라보입니다.

거래량도 꽤 되고 주가의 상승도 보입니다.



아래는 6월 30일에 오름폭이 가장 컸던 스팩 10종목입니다.

10종목 가운데 합병공시가 나온 건 IBKS지엠비스팩과 유안타제1호스팩 뿐

나머지 8종목은 합병공시가 없습니다.

신한제3호스팩과 신영스팩3호는 상한가를 기록하기까지 했습니다.


켐트로스와 합병을 앞둔 케이프이에스스팩이 400%가 넘는 상승율을 보이자

사람들의 관심이 스팩에 쏠리는 듯 하기도 하고

스팩 합병 소문이 도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소위 말하는 세력들이 모이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사실 스팩의 시총은 대부분 60~200억 사이입니다.

세력들의 작전에 의해 급등하기 쉬운 가벼운(?) 회사들이지요.


아래는 신한제3호스팩의 차트입니다.



신한제3호스팩은 6월 30일 상한가외 3월 17일에 이미 상한가를 기록하였습니다.

세력이 처음에 매집하여 주가는 급격하게 올라갔고 불쌍한 개미들은 뒤늦게 붙기 시작합니다.

3월 17일에 상한가를 기록하였고 그 다음 거래일인 3월 20일에 연속하여 상한가를 장중에 기록한 뒤 급락합니다.

뒤늦게 들어온 개미들의 잔고는 마이너스가 되기 시작합니다.

3월 21일도 마찬가지로 폭락...그 뒤 주가는 상승, 하락을 반복하다 제자리를 찾아갑니다.

급등하는 스팩주에 함부러 투자해서는 안되는 이유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신한제3호스팩의 주요 투자자 매매입니다.

6월 15일부터 28일까지 기관의 매수가 많았고 개인은 매도가 많았습니다.

6월 29일 신한제3호스팩이 오르기 시작한 시점부터 개인투자자는 매수, 기관은 매도합니다.

6월 30일 기관은 무려 44만주를 팔아치웁니다. 이날 기관의 매수는 1주도 없습니다.

기관은 빨리 차익실현을 하고 빠지네요.

개인은 40만주나 매수했습니다. 40만주는 세력 + 개미들일 것입니다.

개미들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이런 투기성 매수는 제발 말리고 싶습니다.




사실 합병에 대한 소문으로 인하여 스팩주가 급등하는 경우는 꽤 있습니다.

우리가 명심해야되는 점은 가격이 높아진 스팩주는 합병을 할 때 불리하다는 것입니다.


스팩은 현금만 가지고 있는 페이퍼 컴퍼니입니다.

피합병회사 입장에 있어서는 그냥 현금이지요.

현금 100억짜리 스팩은 피합병사입장에서는 합병시 받는 투자금액 100억입니다.

즉, 100억을 투자받고 100억만큼의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현금100억짜리 스팩의 시총이 200억이라면?

피합병사 입장에선 현금 100억을 투자받고 200억원어치의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는 것과 같아집니다.


스팩의 주가가 높아지면 스팩이 가지고 있는 현금자산보다 시가총액이 부풀려지고

피합병사 입장에서는 합병 비율을 불리하게 가져가게 되므로 합병의 메리트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합병 공시 전에 급등한 회사의 합병 가능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소문만 믿고 급등한 스팩주를 매입했다가 손해를 크게 보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죠.


주식을 매입하여 차익을 목표로 하는 것은 투자일까요? 도박일까요?


제 개인적인 기준으로 회사의 가치를 분석하여 실적이나 성장성을 믿어 매입하는 것은 투자,

막연히 느낌, 운을 믿거나 핫한 테마주나 급등주를 노려서 매입하는 경우는 도박로 봅니다.


스팩은 합병의 가치를 믿고 투자하는 종목입니다.

하지만 요즘 보여지는 잇다른 급등과 매수세는 도박과 다름없어 보입니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