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2)
브로드컴 2024년 4Q 실적 발표

주요 재무 실적:
- 2024 회계연도 연결 매출: 전년 대비 44% 증가한 516억 달러 (VMware 제외 시 9% 성장)
- Q4 연결 매출: 전년 대비 51% 증가한 141억 달러 (VMware 제외 시 11% 성장)
- Q4 영업이익: 88억 달러 (전년 대비 53% 증가), 영업이익률 63%

주요 사업 현황:

1) VMware 통합
- VMware 인수 후 통합이 대부분 완료
- 운영 마진이 2024년 말 70%까지 상승
- 초기 목표였던 85억 달러의 조정 EBITDA를 3년 목표보다 빨리 달성할 전망

2) AI 사업 성과
- AI 관련 매출이 전년 대비 220% 증가한 122억 달러 기록 (반도체 매출의 41% 차지)
- 2027년까지 AI 관련 시장 규모가 600-9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현재 3개의 대형 하이퍼스케일러 고객 보유, 추가로 2개 고객과 개발 진행 중

2025년 Q1 전망:
- 연결 매출 146억 달러 예상 (전년 대비 22% 증가)
- 반도체 부문 매출 81억 달러 예상 (전년 대비 10% 증가)
- 소프트웨어 인프라 매출 65억 달러 예상 (전년 대비 41% 증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번 브로드컴 실적 발표 함의점 

- 실적 자체는 이번 분기, 가이던스 모두 인상적인 수준은 아니었지만 산업 변곡점이 확인된 점이 긍정적

1) 폭발하는 AI ASIC 시장 2027년 AI ASIC 시장 600~900억 달러 전망

브로드컴 코멘트
- 현재 구글, 메타, 바이트 댄스 (추정 고객) 만 고려한 AI ASIC 시장은 150~200억 달러 수준인데 2027년에는 600~90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 

관련된 생각
- 빅테크들의 AI 솔루션들이 일부 모델로 귀결되고 개발 방향성이 어느 정도 정해지면서 AI ASIC 을 개발하는 것이 점점 더 용이함 
- 클라우드 업체 간의 싸움도 Nvidia GPU를 IaaS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니라면 AI 모델이나 AI 서비스를 자체 반도체로 제공하여 가격 경쟁력과 이익 확보를 하는 것이 더 나음 
- 이에 Amazon 이 AI ASIC 경쟁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빅테크들의 AI ASIC 발주 경쟁이 시작됨 
- 2027년 600~900억 달러는 빅테크 데이터 센터에서 AI 서버는 왠만하면 다 자체 반도체로 채우겠다는 것
- 이에 빅테크들의 수주를 나누어 갖은 Broadcom과 Marvell 이 내년, 내후년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이며 당장의 밸류에이션은 의미없음 

2) 안착된 VMware 사업

브로드컴 코멘트
- 운영 마진이 2024년 말 70%까지 상승 및 기존 목표 예상보다 빠르게 달성 예상

관련된 생각

- Broadcom 은 VMware 인수 이후 공격적인 구독 모델로의 전환을 추진하였음 
- 너무 공격적인 가격 정책과 구독 정책으로 고객 이탈 우려가 있었지만 고객들의 이탈없이 전환이 순조롭게 되고 있음
- 이는 VMware 가 데이터 센터 인프라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독보적이기 때문
- 브로드컴은 반도체 회사 이미지가 강하지만 VMware 인수로 엔비디아처럼 데이터 센터 밸류체인에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를 모두 경쟁력있게 수직계열화한 또 하나의 기업이 되었음
- 과거 아날로그 반도체 시절의 밸류에이션은 무의미함

결론
- Amazon 과 Alphabet 이 빅테크들의 본격적인 AI ASIC 내재화 경쟁을 시작하였음 
- 다른 기업들도 수익성과 가격 경쟁력을 위해 동참할 것이라는 점이 이번 실적 발표에서 확인되었음 
- IaaS 용이 아닌 AI 반도체 수요가 AI ASIC 으로 전환된다면 이는 AI ASIC 시장은 향후 2~3년 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
- TSMC CoWoS CAPA에서 GPU보다 AI ASIC 점유율이 더 커질 가능성이 높아짐 
- AI ASIC 시대에서는 낮아진 하드웨어 비용 이점을 누리는 소프트웨어와 Marvell, Broadcom 주목 필요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
정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내란을 위한 계엄을 바라보며

문민정부가 들어선 이후에 계엄이 가능하리라 생각해본 적이 없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최순실 게이트' 때 계엄령 관련 소문이 나기는 했지만(실제로 추진했다는 증거가 나왔다)

그래도 설마 하는 생각이 있었다.

 

근데 진짜 계엄이 일어났다.

 

누군가는 정치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이야기 한다.

하지만 정치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

심지어 정치가 경제를 결정하기도 한다.

 

계엄 사태에 환율 방어선 상승…"더 밀리면 외환보유액 위태"

 

계엄 사태에 환율 방어선 상승…"더 밀리면 외환보유액 위태"

심리적 저항선 1,400→1,450원…외환·금융위기 이후 첫 '위기 환율' 수준 외환보유액, 尹정부 들어 감소세…4천억달러 하회 우려 고개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초유의 비상계엄 사태 이후 일주일 넘

n.news.naver.com

 

계엄 이후 날 뛰는 환율을 잠재우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쏟아붓고 있지만 방어하기 힘든 상태다.

국민들의 재산이기도 한 연기금을 환율 방어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무제한 RP를 매입중이다. 매일 10조 이상을 찍어서 RP를 매입하고 있다.

한국판 양적완화인데, 원화는 기축통화가 아니다.

원화 가치가 방어되기 힘들다.

[영상] 계엄 선포 후폭풍…'무제한' 유동성 공급 | 서울경제

 

[영상] 계엄 선포 후폭풍…'무제한' 유동성 공급

경제·금융 > 경제·금융일반 뉴스: 비상계엄 쇼크 대응을 위한 경제적 대가 규모는? 한국은행이 비상계엄 후폭풍을 잠재우기 위해 환매조건부채권(RP)를 매일 10조 ...

www.sedaily.com

 

미친 한 사람의 미친 결정이 나라 경제를 망가뜨리고 있다.

망가뜨리는 경제를 그나마 방어하기 위해 우리의 세금과 연금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원화 가치의 하락으로 우리 재산의 평가손실도 발생했다.

국내주식, 국내채권, 부동산을 가진 모두...평가 손실이다.

원화 현금이나 통장을 가진 모두...평가 손실이다.

 

부디 빨리 이 상황이 정리되길 희망한다.

정치적인 판단으로 자기 살길만 생각하지 말고

국민이 자기에게 준 권한을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사용하길 바라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빨리 끝내지길 바란다.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