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산네오룩스 - 작년에 놓쳤다면 이제는 기회가 왔다

2020년 삼성디스플레이, 중국 모두 OLED 소재 수요 증가 뚜렷할 전망

- 올해 동사의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41억원(YoY: +37%), 339억원(YoY: +64%)으로 사상 최 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

- 특히 계절적 성수기에 진입하는 2분기부터 예년 대비 더욱 가파른 실적 성장세를 나타낼 전망. 하반기 출시 예정인 iPhone 5.4”, 6.1”, 6.7” 신제품에 모두 Flexible OLED가 채택될 예정이기 때문

- 최근 중국 최대 고객사인 BOE는 올해 OLED 패널 출하량을 전년 대비 크게 확대할 것으로 밝힌 바 있어 동 사의 중국향 소재 출하 크게 확대될 경우 수익성 제고에 긍정적

 

 

매수 투자의견 유지하나 목표주가는 40,000원으로 하향 조정

- 동사에 대한 매수 투자의견을 유지하나 COVID-19 확산 우려로 전세계 증시의 Valuation이 하락한 것을 반영하여 적용 P/E 배수와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 최근 주가는 올해 예상 실적 기준 P/E 19배 수준까지 하 락하며 큰 폭의 조정세로 Valuation 매력도 상승. 비중 확대 기회로 활용 권고

- 향후 ① iPhone OLED 전량 채택 효과에 따른 삼성디스플레이의 가파른 가동률 상승과 ② 중국 업체들의 점진적인 가동률 상승, ③ Foldable, Tablet, Note PC, Auto 등 새로운 Application 다변화에 따른 OLED 패널 수요 확대 등으로 동사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 높을 것으로 판단

 

 

COVID-19 사태로 인한 우려에도 양호한 1Q20 실적 예상

– 최근 COVID-19 사태로 전방 IT 기기 수요 부진 우려 존재하나 1Q20 실적은 삼성전자 Galaxy S20, Galaxy Z Flip 신제품 출시 효과로 매출액 281 억원(YoY: +45%, QoQ: +1%), 영업이익 59억원(YoY: +176%, QoQ: -35%)을 기록하며 양호할 전망. 다만 COVID-19가 북미, 유럽으로 확산되면 서 경기 둔화 및 IT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에 2Q20 소재 출하 및 실적 흐름에 대한 지속적인 확인 필요

– 동사의 중국향 OLED 소재 매출은 18년 약 150억원, 19년 약 200억원 수준을 기록하며 꾸준한 증가세. 현재 중국 업체들의 중소형 OLED Capa.는 6세대 기준 BOE 96K/월, CSOT 15K/월, Visionox 25K/월, Tianma 20K/월, Royole 5K/월 규모를 갖추고 있으나 안정적인 양산 기술 확보에 어려 움을 겪으면서 실질적인 가동률은 상당히 부진한 상황. 따라서 향후 중국 업체들의 가동률 상승으로 OLED 소재 수요가 증가할 경우 HTL, Red host, R’, G’ 등으로 제품이 다변화되어 있는 동사 실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출처: 하이투자증권

반응형
  Comments,     Trackba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