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20 Review : 배터리 동박 매출 YoY +55% 성장
일진머티리얼즈 1분기 실적은 매출 1,374억원(YoY +14%, QoQ +8%), 영업이익 110억원(YoY +61%, QoQ +23%)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했다. 1) I2B부문(배터리 동박, 매출 비중 55%)의 경우 글로벌 전기차 판매 호조 및 국내 배터리 메이
커 가동률 상승으로 매출 YoY +55% 증가하며 실적 성장을 견인했고, 2) ICS 부문(PCB 동박, 매출 비중 10%)의 경우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 부진 및 PCB 서플라이 체인 가동률 하락으로 매출 YoY -7% 감소했다. 3) 한편, 지난 4분기 1회
성 비용 반영으로 일시적으로 악화됐던 말레이시아 법인 수익성은 정상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2020년 I2B 매출 YoY +73% 전망
2분기 실적은 매출 1,411억원(YoY +13%, QoQ +8%), 영업 이익 121억원(YoY -30%, QoQ +10%)이 전망된다. I2B 부
문의 경우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으로 전기차 배터리향 동박 출하 증가폭이 계획대비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말레이시아 Phase 2 가동이 당초 예상했던 2분기 초에서 2분기 말로 늦춰질 전망이다. 다만 주요 고객사 ESS 배터리
매출이 예상보다 빠르게 증가하며 I2B 부문 매출은 YoY +40%로 가파른 상승세 이어나갈 전망이다. 2020년 실적은
매출 6,681억원(YoY +21%), 영업이익 760억원(YoY +62%) 로 가파른 성장이 전망된다. 주요 배터리 고객사들의 주 매
출처인 유럽 지역 전기차 시장 성장세 지속되며 I2B 부문 매출은 YoY +73% 증가할 전망이다. 수익성 높은 말레이시아
법인이 I2B 부문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 높아지며 2차전지 주요 소재 업체들 중 가장 높은 수준의 영업이익률 유지 가
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최근 3년간 PER 밴드 최하단
목표주가 64,000원을 유지한다. 현 주가는 12M Fwd 예상 EPS 대비 26배 수준으로 최근 3년 평균 PER 최하단 수준
이다. 2차전지 소재 시장 중 가장 제한적인 경쟁 강도 및 높은 수익성 감안하면 高 Multiple 부여 지속될 것으로 판단한
다.
출처: 하나금융투자
'한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넥신 - ASCO에서 입증된 하이루킨 7의 가치 (0) | 2020.06.01 |
---|---|
클래시스 - 1분기 놀라운 60%대 영업이익률, 올해 계속된다 (0) | 2020.05.19 |
텔레필드 - 성장동력은 확실, 매 분기가 기대된다 (0) | 2020.05.18 |
한미반도체 - 중화권 시설투자와 후공정 수혜주 (0) | 2020.05.18 |
인텍플러스 - 반도체 후공정 Relocation 수혜주 (0) | 2020.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