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BB이하 등급의 회사채 금리와 국채 그림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심상치 않습니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 그리고 저유가로 인한 미국 에너지 한계 기업의 문제 등이 녹록치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아래는 세인트루이스 연방은행에서 제공하는 BB등급 하이일드 스프레드입니다.
2020년 3월 17일 기준으로 6.18을 기록했습니다. 2012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 7.02를 기록한 뒤 최고치입니다.
스프레드 그래프가 꺾이지 않는다면 2008년 금융위기 만큼은 아닐지 몰라도 상당한 경제 위기로 번질수도 있습니다.
이미 주가의 하락이 상당한 경제 위기를 반영하고 있긴 하지만 추가 하락의 기폭제가 될 수 있는 재료이기도 합니다.
현재 미국의 회사채 시장의 레버리지론인 CLO의 규모가 상당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CLO(Collateralized Loan Obligation, 부채담보부채권)는 2008년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의 원인이 된 서브프라임 모기지 채권의 레버리지론인 CDO와 비슷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하이일드 채권 부도의 파급력이 상당할 수 있습니다.
CDO는 서브프라임과 리먼사태를 거치면서 그 비중이 많이 줄어든 상태이지만 CLO는 2018년까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저유가 흐름은 하이일드 채권 시장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에너지기업의 리스크와 연계되어 있어서 단기간 안정화되긴 어려워 보입니다. 투자하는 입장에서는 스프레드가 꺾이는지 계속 상승하는지를 눈여겨보며 대응해야할 것 같습니다.
미국정부 혹은 FED가 회사채 시장에 개입을 해서 해당 이슈를 안정화할 필요가 있는 상태인데 빠른 시일내에 가능할지 의문입니다. 부디 이 위기를 무사히 넘어갈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하이일드 스프레드(High Yield Spread) - 경제 위기 예측 지표
요즘 같이 변동성이 크고 주가지수가 3~4%씩 폭락하는 경우 투자자들은 공포 심리로 자산을 매도할 수도 있고 다시 오를 날을 기다리며 버티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금을 가진 이들은 이때를 기회로 이용하여 자산..
spacinvest.tistory.com
'미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 방콕하고 넷플릭스 (0) | 2020.04.03 |
---|---|
금융위기의 새로운 뇌관 CLO (0) | 2020.03.23 |
길리어드(Gilead/GILD) - 코로나 바이러스 수혜주? (0) | 2020.03.09 |
미국 기업 주요 뉴스 (0) | 2020.02.25 |
뉴욕증시, 코로나19 확산 공포에 패닉...다우, 3.56% 폭락 마감 (0) | 2020.02.25 |